- 제주 재래종 감귤로 만든 꽃차의 기능성 연구 및 상품 개발 - 연구보고서 발간
- 2016-10-31
- 조회 755
□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박찬식)는 2016 제주학 정책연구 공모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박석근(제주꽃차영농조합법인 대표), 최칼라(제주꽃차영농조합법인 이사) 의 ????제주 재래종 감귤로 만든 꽃차의 기능성 연구 및 상품 개발』보고서를 발간함
□ 본연구는 재래종 감귤꽃을 활용하여 감귤류를 재배하는 농가들의 소득증대와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 개발을 위해 꽃을 활용한 차(茶)개발 연구로,제주 재래종 식물의 종 다양성을 보존하고 식물자원 활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큼
□ 연구 결과 재래종 감귤꽃차는 항산화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요즘 흔히 음용되고 있는 매실과 비교할 때 꽃차는 2.6배가 높으며, 진귤꽃차는 2.7배, 당유자 꽃차는 3.8배로 나타나고 있음
-제주 재래종 감귤꽃차는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는 항산화물질이 있어서 그 기능성이 뛰어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
- 한편 재래종인 당유자꽃차, 진귤꽃차가 일반 감귤꽃차 보다 항암효과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남
□ 설문조사 결과, 감귤꽃차 상품 개발 가능성을 60%라고 답한 소믈리에(꽃차 제다 가능자) 응답자가 42%나 되어, 재래종 감귤꽃차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재래종 감귤꽃차의 명품꽃차 개발 가능성은 높지만 꽃차의 색이나 모양이 상품화되기 위해서는 제다법(製茶法) 및 블렌딩에 대한 연구가 차후 과제로 남음
□ 본연구는 재래종 감귤꽃을 활용하여 감귤류를 재배하는 농가들의 소득증대와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 개발을 위해 꽃을 활용한 차(茶)개발 연구로,제주 재래종 식물의 종 다양성을 보존하고 식물자원 활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큼
□ 연구 결과 재래종 감귤꽃차는 항산화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요즘 흔히 음용되고 있는 매실과 비교할 때 꽃차는 2.6배가 높으며, 진귤꽃차는 2.7배, 당유자 꽃차는 3.8배로 나타나고 있음
-제주 재래종 감귤꽃차는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는 항산화물질이 있어서 그 기능성이 뛰어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
- 한편 재래종인 당유자꽃차, 진귤꽃차가 일반 감귤꽃차 보다 항암효과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남
□ 설문조사 결과, 감귤꽃차 상품 개발 가능성을 60%라고 답한 소믈리에(꽃차 제다 가능자) 응답자가 42%나 되어, 재래종 감귤꽃차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재래종 감귤꽃차의 명품꽃차 개발 가능성은 높지만 꽃차의 색이나 모양이 상품화되기 위해서는 제다법(製茶法) 및 블렌딩에 대한 연구가 차후 과제로 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