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 개설
- 2024-03-06
- 조회 33
“‘탐라 역사․문화의 기록자’- 시민 아키비스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
‘제주도민대학’과 함께 개설하여 운영하는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심화과정 및 기초과정’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는 제주도민대학과 함께 ‘탐라 역사와 문화의 기록자’로 나설 제주도민을 육성하는 ‘제3기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심화과정’ 및 ‘제4기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기초과정’을 개설한다.
○ 특히 이번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부터는 ‘제주도민대학’과 연계하여 수강생을 모집하고 관리해나갈 예정이며, 타강좌 포함 도민대학 강좌 100학점 이상 이수시 도민대학 명예학사가 수여된다. 따라서 이번 강좌부터는 수강신청도 제주도민대학 사이트에서 접수가 이루어진다.
○ 먼저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심화과정은 지난해 기초과정 수료자를 중심으로 참여하는 전문인력 양성과정으로서, 수동적인 강의 수강에 머물지 않고 수강생 각자가 자신의 주제를 정하고 수강 기간에 조사와 정리, 원고 집필 등을 통해 마지막 강의 때 성과물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워크숍 형식의 강좌는 실제적인 기록자로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 심화과정 강좌의 주제와 강사진은 다음과 같다.
회차 | 날짜 | 강의 내용 | 강사 |
1 | 3.28. (목) | 제주학 아카이브 구축의 실제와 기록 주제 선정 | 조정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
2 | 4. 4. (목) | 해양 제주의 특성과 전망, 어촌 민속 기록화 방안 |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
3 | 4.11. (목) | 지역사 관점에서 영상 기록과 활용 | 김동만 한라대학교 교수 |
4 | 4.18. (목) | 제주 역사와 삶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방법 | 강만익 탐라문화연구원 특별연구원 |
5 | 4.25. (목) | 제주어 구술채록을 활용한 기록의 가치와 실행 방법 | 김미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
6 | 4.27. (토) 9시~12시 | 현장 실습 – 민속오일장 | 민속오일장 상인회 |
7 | 5. 2. (목) | 시민 아키비스트 주제 발표 및 토론 / 수료식 |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 현혜림 센터 전문연구원 |
○ 심화과정 강좌는 3월 28일부터 5월 2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7~9시(총 7회, 현장 실습은 4월 27일 토요일/민속오일장) 제주학연구센터 강의실 ‘마레’에서 열린다. 심과과정 신청자격은 2023년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기초과정 수료자와 제주학 관련(전공 불문) 석사학위 이상(또는 관련 경력 3년 이상) 소지자이다.
○ 한편, 모든 도민들이 신청하여 수강할 수 있는 ‘제4기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기초과정’은 새롭게 지역학 기록자 과정에 입문할 도민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 기초과정 강좌의 주제와 강사진은 다음과 같다.
회차 | 날짜 | 강의 내용 | 강사 |
1 | 5. 28.(화) | 지역 공동체의 역사ㆍ문화 기록화와 아카이브 구축 | 이해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
2 | 5. 30.(목) | 마을 문서 발굴ㆍ번역ㆍ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제주역사 다시 읽고 쓰기 | 임승희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원) |
3 | 6. 4.(화) | 제주사회 문화변동 기록화의 방법과 활용 방안(‘탐라순력도 다시 그리기’ 등 이미지 콘텐츠를 중심으로) | 홍진숙 (화가) |
4 | 6. 11.(화) | 문학예술로 기록하는 제주의 역사와 제주인의 삶 | 김동현 (제주민예총 이사장) |
5 | 6. 13.(목) | 사진으로 기록하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 | 서재철 (자연사랑미술관장) |
6 | 6. 18.(화) | 영상으로 기록하고 소통하는 제주인의 삶 | 안현미 (스토리AHN 대표) |
7 | 6. 20.(목) | 제주어 구술채록으로 제주인의 삶 기록하기 |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 |
8 | 6. 22.(토) 14시~18시 | 현장 답사 – 삼성혈 및 민속자연사박물관 | 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실 |
9 | 6. 25.(화) | 기록 아이템 선정과 디지털 기반 현장 기록화 방법 / 수료식 | 조정현 (제주학연구센터 전문연구위원) |
○ 기초과정 강좌는 5월 28일부터 6월 25일까지 매주 화․목요일 오후 7~9시(총 9회, 현장 답사는 6월 22일/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학연구센터 강의실 ‘마레’에서 열린다.
○ 이번 강좌 개설과 관련하여 제주학연구센터 관계자는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은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제주학 및 지역학 아카이브의 완성을 앞당길 수 있는 도민친화 사업으로, 특히 올해부터는 제주도민대학과 함께 운영해나가는 만큼 더욱 많은 도민과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 수강 신청과 상세 내용은 제주도민대학(http://www.jejudomin.kr) 및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http://www.jst.re.kr)을 참조하고, 기타 사항은 전화 064-726-9871(제주도민대학), 064-900-1817(제주학연구센터)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