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문화정책과·제주학연구센터, 국립국어원에 수정 요청, <우리말샘>에서 제주어 현실 발음 반영
- 2023-01-26
- 조회 29
이젠 ‘맘국, 남삐’ 대신 ‘몸국, 놈삐’로 검색하세요!
도 문화정책과 ‧ 제주학연구센터 수정 요청
<우리말샘> 인터넷사전에서 제주어 현실 발음 반영
□ 국립국어원에서 운영하는 <우리말샘> 국어사전에 아래아(ㆍ)가 들어 있는 제주어가 실제 발음과 비슷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우리말샘>에서는 아래아(ㆍ)가 들어있는 ‘ᄆᆞᆷ국’, ‘ᄂᆞᆷ삐’ 등 표제어가 제주 지역의 현실음과는 동떨어진 ‘맘국’, ‘남삐’처럼 올라 있었다. 그러다 보니 아래아를 살려 쓰든가 아니면 현실음에 맞게 표제어가 수정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 이에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와 방언연구자 등 도민 사회에서는 국립국어원에 <우리말샘>의 제주어 표제어를 현실에 맞게 수정해 줄 것을 꾸준히 요청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주학연구센터는 <우리말샘>에 올라있는 표제어에서 ‘아래아’ 관련 어휘를 ‘ㄱ’부터 순차적으로 400개와 지나치게 이질적인 어휘 10개를 검토하여 지난 10월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를 통하여 국립국어원에 수정 요청하였고, 그 중 일부가 반영되었다. 어휘 검토와 감수는 제주학연구센터 김순자 센터장과 김미진 전문연구위원, 권미소 전문연구원 3명이 맡았다.
□ 국립국어원은 수정 요청한 어휘 중 ‘남삐, 닥세기, 다슴아달, 맘국, 상키, 탁, 카칼하다, 하꼼, 타라지다’ 등 9개의 어휘를 ‘놈삐, 독세기, 다슴아돌, 몸국, 송키, 턱/톡, 코콜하다, 호꼼, 토라지다’로 수정하여 <우리말샘> 사전에 반영하였다. 이 단어가 수정됨에 따라 예문 및 관련 어휘 수정도 함께 이루어져 142건의 표제어가 동시에 현실음에 맞게 수정되었다.
아울러 국립국어원은 <우리말샘> 사전에 있는 아래아(ㆍ)를 포함하고 있는 제주어 4,000개 항목 전체에 대한 전수 조사 및 검토를 진행해 수정 요청을 한다면 검토 후 이번의 사례처럼 반영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혀왔다.
□ 국립국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우리말샘> 사전에 올라 있는 제주어 어휘는 총 18,000여 개로, 이중 20%가 넘는 4,000여 개 표제어가 아래아(ㆍ)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이 단어들은 현실 발음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아’나 ‘오’ 등으로 모음을 수정하여 등재하고 있다. <우리말샘> 사전은 전 국민에게 인터넷으로 서비스되는 국어사전으로, 다음이나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도 <우리말샘> 사전의 정보를 그대로 제공하고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제주어가 왜곡될 우려가 있어서 빠른 수정 및 보완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 이에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와 제주학연구센터는 2021년 11월 23일, 2022년 3월 3일 두 차례 국립국어원을 방문해 <우리말샘> 사전에서 제주어 표제어 수정을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은 국어 정책상 국어사전의 현대 국어 표제어는 한글 24자모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아래아(ㆍ)가 포함된 단어를 대부분 ‘아’로 바꿨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와 제주학연구센터는 표제어에 아래아(ㆍ)를 쓸 수 없다면 최소한 현실 발음에 가까운 표기로라도 수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수정이 필요한 어휘 가운데 400개 어휘와 지나치게 이질적인 표제어 10개에 대한 검토와 뜻풀이 등의 감수를 진행했다.
□ 이번 작업에서 표제어 검토와 감수를 진행했던 제주학연구센터 김순자 센터장은 “아쉬운 대로 ‘ᄆᆞᆷ국’을 ‘맘국’ 대신에 현실음에 가까운 ‘몸국’으로 수정했다”면서 “제주어의 왜곡을 방지하고 올바른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 뿐만 아니라 다른 국어사전의 제주어의 표제어와 뜻풀이도 올바르게 수정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번 수정 작업을 토대로 4,000개의 아래아 관련 어휘뿐만 아니라 제주어 전체에 대한 전수 조사 및 단계적인 개선 과정을 거쳐 제주어에 대한 바른 정보로 활용도를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