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제주]제주 입도조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2024-05-09
- 조회 3
제주 입도조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제주학연구센터, 입도조 현황 실태 보고서 내놓아
제주학연구센터가 26번째 제주역사 자료총서 《제주 입도조 현황 실태 조사 보고서Ⅰ - 제주의 입도조》를 발간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학연구센터는 지난해부터 민선 8기 ‘역사문화 기반 구축’ 공약 사항에 따라 제주지역의 주요한 성씨·본관별 입도조 현황을 파악해 정리하는 ‘제주 입도조 현황 실태 조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입도조에 대한 조사는 제주라는 섬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제주인의 뿌리, 정체성을 찾기 위한 첫 시도이다.
이번 조사는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주도에 입도한 것으로 추정되는 각 성씨와 본관별 입도조를 대상으로 삼았다. 지난해 16세기 이전에 입도한 것으로 확인된 총 60개 입도조를 중심으로 입도조 묘역 현지 조사를 진행하고, 주요 문중회 관계자들을 만나 얻은 자료를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46개 입도조에 관한 이야기를 보고서에 실었다.
이번 자료는 제주의 성씨·본관별 연원을 살피고, 비문에 새겨진 각 입도조의 행적과 관련 묘역 실태를 담았다.
제주학연구센터는 올해도 ‘제주 입도조 현황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7세기에 입도한 것으로 추정되는 입도조 등을 대상으로 문중회에서 발간한 족보와 회지(會誌), 사진 등 기록물을 수집, 정리하고 각 입도조 묘역 현지 조사를 추진하는 등 유무형 역사·문화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 발간된 자료는 보다 많은 도민들이 접할 수 있도록 제주도내 도서관 등 공공기관에 배포될 예정이며,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www.jst.re.kr)에서 자료를 내려받아 볼 수 있다. 비매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