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연구성과

제주학연구센터의 연구성과를 알려드립니다.

[일간제주] 2021 제주어종합상담실 상담 자료집...《ᄇᆞ름도레기가 바람개비렌》 발간

  • 2022-01-26
  • 조회 5
바로가기
http://www.ilgan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96556

 2021 제주어종합상담실 상담 자료집...《ᄇᆞ름도레기가 바람개비렌》 발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에서는 지난 1년 동안의 제주어종합상담실 상담한 내용을 정리하고 엮어 2021년도 상담 자료집 《ᄇᆞ름도레기가 바람개비렌》을 발간했다.

제주어종합상담실은 <제3차 제주어 발전 기본 계획>에 따라 설치된 제주어 전문 상담 창구이다. 올해로 세 돌을 맞는 제주어종합상담실은 ‘제주어, 몰르는 거 싯건 들어봅서양’이라는 표어 아래 제주어 상담 전용 <들어봅서>(1811-0515) 전화와 전자우편(jejueo0515@hanmail.net),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http://www.jst.re.kr/manageBoard.do) 등을 통해 제주어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한 상담 자료집은 2020년 12월 1일부터 2021년 11월 30일까지 상담한 자료 321건을 단어, 구와 문장, 뜻풀이, 표기, 어원과 지명, 문법과 발음, 기타 등 7개 분야로 나눠 문답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상담 내용은 표준어를 제주어로, 또 제주어를 표준어로 바꿔 달라는 단순한 요청부터 제주어 표기, 제주어 문법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까지 다양하다. 올해는 특히 공공기관 등에서 홍보지나 웹툰, 표어를 만드는 데에 제주어를 활용하고자 작성한 원고의 감수를 원하거나 표준어로 만든 문장을 제주어로 바꿔 달라는 내용이 많았다.

이 내용을 유형별로 정리해 보면 단어 관련 99건(31%), 구와 문장 89건(28%), 뜻풀이 관련 31건(10%), 표기 관련 59건(18%), 어원과 지명 8건(2%), 문법과 발음 15건(5%), 기타 20건(6%)이다. 상담 자료집에는 유형별로 차례대로 상담 내용을 실었다.

한편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단어’ 관련 99건의 질문 가운데에 표준어를 제주어로 바꿔 달라는 질문이 50건(16%), 제주어를 표준어로 바꿔 달라는 내용이 49건(15%)이고, ‘구와 문장’의 질문 89건 가운데는 표준어를 제주어로 바꿔 달라는 내용이 74건(23%), 제주어를 표준어로 바꿔 달라는 질문이 15건(5%)에 해당하였다. 표준어를 제주어로 바꿔 달라는 요청이 총 139건으로 전체의 43.3%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제주어종합상담실의 이용객 가운데 표준어는 잘 알고 있지만 그에 맞는 제주어가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절반 가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상담 자료집에는 제주어종합상담실의 이용객에 대한 정보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먼저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제주 지역 거주자는 236명(73%), 도외 거주자는 66명(21%)으로 나타났다. 제주 지역 거주자 가운데에는 이주민이 19명(6%), 도외 거주자 중에는 제주 출신 6명(2%)가 포함되었다. 이용객의 연령대는 40대가 94명(29%)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20대가 92명(28%), 30대가 58명(18%), 50대가 42명(13%), 60대 15명(5%), 10대와 70대는 각각 2명(1%) 순이었다. 또한 이용객의 성별은 여성이 192명(60%), 남성이 119명(37%)으로 여성이 더 많이 제주어종합상담실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학연구센터 김미진 전문연구위원은 제주어종합상담실에 문의를 주는 분들이 “제주어의 가치를 알고, 제주어를 널리 알리는 데에 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며 “앞으로도 제주어종합상담실이 제주어로 소통하고자 하는 많은 분들을 위해 제주어 ‘ᄇᆞ름도레기’가 되어 중심을 잡고 잘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2021년 제주어종합상담실 상담 자료집 《ᄇᆞ름도레기가 바람개비렌》은 제주학연구센터 누리집(http://www.jst.re.kr)에서 PDF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다.

출처: 일간제주(http://www.ilganje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