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열린마당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진행하는 행사, 강연 소식과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답변] 4월11일의 제주학 연구자 초청 특강을 듣고,

  • 제주학연구센터
  • 2023-05-02
  • 조회 37
안녕하세요.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연구자 초청 특강>을 찾아주시고, 관심가져 주셔서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게시판에 질문해 주신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는, 저희 제주학연구센터 차원에서 답변을 드리기 보다는
직접 조사, 연구하신 연구자 선생님께 문의를 드리면 더욱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제주학연구센터로 연락을 주시면, 따로 안내 드리겠습니다.

문의: 제주학연구센터(Tel. 064-900-1822)


또한 문의하신 일제시대 제주 사회와 관련하여 연구된 책을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주십시오.
일부 자료의 경우, 저희 센터 누리집에서 내려받기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김은희 외, <일본이 조사한 제주도>, 제주연구원, 2011.
- 진관훈, <근대 제주의 경제 변동>, 도서출판 각. 2004.
- 김영순, <일제의 토지조사 사업과 제주도 지세 제도 변화 연구>, 제주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20.


--------------------------------------------
[문의 내용]

안녕하세요,

지난번 <제주도 주정공장의 설립과 운영> 강연을 아주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센터에서의 강연이 더 자주 활발히 있었으면 합니다.

지난 시간에 대해 궁금한 것들이 남아 문의를 남겨 봅니다.
공장의 처음 설립 후 원료인 고구마의 제주 생산량이 급격히 늘었다는 설명을 듣고 그와 관련한 궁금증이 커졌습니다.


1. 공장의 등장을 제주사회는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식민지배가 한참 진행된 시기에 일어난 큰 변화에 대한 반응이 궁금합니다)
2. 경작지의 큰 변화를 위해 어떤 일들이 따랐는지, (기존 농업 상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삼림의 변화도 짐작되는데 어느 정도였는지 등)
3. 생산에 대한 농민의 수익은 적절했는지, (제주 경제에 끼친 큰 영향 등)
4. 일제가 막을 내린 후에 그에 따르는 고구마 농작의 변화를 농민들은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어떻게 적응하였는지,
5. 일제 직후 공장에 대한 사후 인식이 어떠하였는지(제주사회에 어떤 득실이 있었는지에 대한 이해), 등입니다.


일제시대가 제주에 끼친 영향을 알 수 있는 큰 부분이 될 것 같아 관심이 커진 것인데요.
위의 궁금한 점들과 더불어 일제시대의 제주 사회에 대해 알려주는 책들이 있어 소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네 그럼 수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