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연구 22│제주도 마을어장 관리 변천사 연구
순수과학 > 해양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목적 및 방법 1
2. 연구내용 및 의의 2
Ⅱ. 조선시대 이전 마을어장 관리 8
1. 고려시대 이전 8
2. 고려시대 11
3. 조선시대 18
Ⅲ. 일제강점기 마을어장 관리 47
1. 어업령 시행 이전 47
2. 어업령 기간(1911년 ~ 1929년) 48
3. 조선어업령 기간(1930년 ~ 1945년) 59
Ⅳ. 해방 후부터 1962년 어촌계 조직 이전까지 마을어장 관리 85
1. 미군정 기간 85
2. 미군정(1949년)이후부터 수산업법 제정(1953년) 기간 90
3. 수산업법 제정(1953년)부터 수산업협동조합법 제정(1962년) 기간 94
Ⅴ. 1962년 어촌계 설립 이후부터 1981년 수산업법 개정 전까지
마을어장 관리 118
1. 어촌계 설립 118
2. 마을어장 관리와 주요 분쟁 129
3. 마을어장 경계분쟁과 관련된 갈등해결 사례 172
4. 마을어장 관리 제도와 주요 문제들 186
5. 마을어장을 통한 지역발전 지원 208
Ⅵ. 1981년부터 마을어장 관리 216
1. 1981년 수산업법 개정 216
2. 마을어장 관리제도의 정착화 218
3. 자율관리어업에 의한 자율관리규약의 제정과 실천 237
4. 마을어장 관리제도와 관련된 주요 추진 정책 262
5. 사라질 위기의 자율적 마을어장 관리 공동체 문화: 불턱과 잠수회 281
Ⅶ. 결론 295
1. 연구의 요약 295
2. 연구의 시사점 299
3. 활용방안 302
참고문헌 303
국문초록 310
Abstract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