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일보] 제주도, 4·3기록물 세계화…4·3기록관 건립 추진
- 2025-04-22
- 조회 3
2025. 4. 21. 제주일보(좌동철 기자)
기본계획 용역비 2억원 행자위에 요청…국비·부지 확보 관건
제주4.3평화재단이 제주4.3평화기념관 수장관에 보관 중인 4.3당시 관련 문서들.
4·3기록물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 미래세대에 전승하기 위해 4·3기록관(가칭) 건립 사업이 추진된다.
2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됨에 따라 기록물의 체계적인 보존·전시와 교육·홍보를 위해 4·3기록관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도는 기본계획 용역비 2억원을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줄 것을 행정안전부에 요청했다.
4·3기록관 건립은 국비와 부지 확보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도는 국비 295억원을 투입해 제주4·3평화공원 맞은편 2만9990㎡ 부지에 4·3트라우마치유센터와 4·3국제평화문화센터를 2027년 말 준공하는데, 이 공간에 4·3기록관 건립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김대진 제주도의회 의원은 지난 18일 추경예산안 심사에서 “5·18기록관은 광주의 중심지인 금남로에 들어섰다”며 “내·외국인 관광객과 학생들의 방문을 위해 접근성이 좋고, 4·3의 상징성이 있는 관덕정 일대에 기록관이 들어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철남 의원은 “5·18기록관은 2011년 5월 기록유산 등재 후 이듬해 1월 건립 사업이 추진했다”며 “조기 대선과 맞물려 4·3기록관 건립이 각 후보와 정당의 공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4·3기록물의 90% 이상은 4·3평화재단 수장고에 있는데, 체계적으로 분류되지 않아 일부 자료는 쌓여있는 상태로, 자료를 통합 보존·전시할 기록관이 필요하다”며 “내년에 기본계획 용역 결과가 나와야 필요한 재원과 입지가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4·3기록물은 진실 규명과 화해의 과정을 담은 1만4673건의 역사적 기록이 포함됐다. 군법회의 수형인 명부와 옥중 엽서(27건), 희생자와 유족들의 생생한 증언(1만4601건), 시민사회의 진상규명 운동 기록(42건),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3건) 등이다.
하지만, 수형인 명부는 국가기록원에, 4·3 생존희생자와 유족 증언 녹취록은 민속자연사박물관에, 4·3피해신고서는 4·3평화재단에 분산돼 있다.
아울러 4·3기록물의 텍스트와 이미지, 관련 정보를 디지털 파일로 전환해 전 세계인들이 쉽게 찾아보고 연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도 필요하다.
실례로 5·18기록관은 ‘잠들어 있는 기록물’이 되지 않도록 4271권에 86만쪽에 달하는 자료와 총서 61권을 디지털 전자파일로 발간했다.
부산시는 조선통신사 기록물을 전시·홍보하는 역사관을 설치했으며, 조선통신사 기록물의 정보와 해설, 원문 이미지와 함께 기록물을 활용한 음성 지원 콘텐츠, 가상 전시 등 다양한 매체로 서비스하는 전자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2023년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자,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혁명의 정신과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외국어 번역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지난 11일 제주4·3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면서 제주4·3은 국가폭력의 비극을 넘어 화해와 상생을 실현한 세계의 기록유산이 되는 전환점이 됐다.
부산 동구 자성대공원에 건립된 조선통신사 역사관은 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관련 자료를 전시.홍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