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다일보] 해녀 소멸 위기...전국해녀협회 지원 강화 필요
- 2025-09-03
- 조회 21
2일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 국회 토론회’ 개최
2025. 9. 2. 삼다일보(김동건 기자)
2일 국회도서관에서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가 열린 가운데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동건 기자.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제1호 국가중요어업유산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해녀의 보전·전승을 위해 전국해녀협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의회, 위성곤·김한규·문대림 국회의원은 2일 국회도서관에서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전국해녀협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해녀문화 보전·전승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제주 해녀는 1970년에 1만4143명에서 지속적으로 줄어들다 2023년 처음으로 3000명대가 무너진 이후 지난해 2623명으로 급감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해녀 수는 제주 2623명, 경북 1270명, 울산 1125명, 부산 640명, 전남 422명, 경남 402명, 충남 141명, 강원 170명 등 총 6813명으로 집계됐다.
2일 국회도서관에서 ‘㈔전국해녀협회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김동건 기자.
이와 관련 이날 토론회에서 고미 제주도 농어업유산위원회 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해녀문화의 소멸 징후를 보면 기후위기 및 해양 생태계 변화, 경제 및 인식 불균형, 문화 콘텐츠 왜곡 등 다양한다”며 “고령화 이상의 위기 요인이 산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고 위원은 “해녀의 생존권 보장, 문화유산 전승 등을 위해 전국해녀협회 제도화 및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전국해녀협회를 정부의 공식 협업 파트너로 지정하고 법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정곤 한국구산회 수산정책연구소장은 주제발표에서 “지난해 전국해녀협회가 설립됐지만 사무실 임대료와 행정인건비 등 기본적 경비 부족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역별 해녀 연령, 조업 환경, 소득 수준이 다양해 정책 마련·집행이 어렵고 소통에도 한계가 있다. 또 고령화로 안전사고와 잠수병 등 직업병에 노출됐으나 복지 정책이 부족하고 지역별로 상이해 형평성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김계숙 전국해녀협회 회장을 비롯한 각 지역 해녀들은 해녀 문화 보존과 전승을 위해 전국해녀협회에 대한 정부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관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국 해녀들을 위한 공통 복지 제도 마련을 정부에 한목소리로 요청했다.
특히 전국해녀협회는 ▲해양수산부와 문화재청 등 정부의 보조금 지원 확대 ▲교육·홍보·복지 등 정부 공모 사업 지원 제도 신설 ▲지역별 협력 강화 ▲온오프라인 통합 소통 채널 구축 ▲해녀복과 납벨트 등 안전 장비 교체 및 지원 확대 ▲정기 건강 검진 및 치료 지원 확대 등 의료 복지 강화 ▲젊은 해녀 양성 프로그램 지원 등을 건의했다.
출처 : 삼다일보(http://www.samda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