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기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 (접수마감)
- 공지사항
- 2021-11-02
- 조회 711
** 모집 정원 20명이 넘어 부득이 접수 마감합니다. 감사합니다.
탐라의 역사․문화․삶을 기록할 ‘시민 아키비스트’ 양성과정 수강생 모집!
- 시민이 만들어가는 제주 역사와 문화의 기록창고 - 제주학 아카이브
모집인원: 20명 내외 / 수강료 없음
모집기간: 2021. 11. 3 ~ 11. 8 (선착순)
교육기간: 2021. 11. 11 ~ 12. 14 (매주 화, 목 19:00 ~ 21:00)
교육장소: 제주문화예술재단 대회의실
접수방법: 첨부파일의 『제1기 제주학 ‘시민 아키비스트’ 아카데미 참가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
☞ jhcho@jst.re.kr로 전송(모집마감 이후 개별연락 : 11월 9일)
문의사항: ☎064-747-6138
회차 | 날짜 | 강의 내용 | 강사 |
1 | 11.11 (목) | 지역 역사문화 기록화(아카이빙)의 의의와 방법 | 좌혜경 (문화재위원) |
2 | 11.16 (화) | 민간기록물의 지역자산화와 미래전략화 | 홍기표 (국사편찬위원) |
3 | 11.18 (목) | 기록발굴과 기억복원으로서 제주역사 다시 쓰기 | 조성윤 (제주대 교수) |
4 | 11.23 (화) | 생활사 기록의 가치와 활용 방안 | 고광민 (생활사연구가) |
5 | 11.25 (목) | 마을 기록관(박물관)의 의의와 설립 방안 | 김창일 (국립제주박물관) |
6 | 11.30 (화) | 앨범을 활용한 자서전 만들기 | 정종영 (동화작가) |
7 | 12.02 (목) | 사진으로 기록하는 제주 역사와 문화 | 강정효 (사진작가) |
8 | 12.07 (화) | 구술채록을 활용한 보통사람의 삶 기록하기 |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 |
9 | 12.09 (목) | 디지털 환경에서의 현장 기록화 방법 | 박정근 (사진작가) |
10 | 12.14 (화) | 기록 아이템 선정과 오픈 아카이브 활용방법 | 조정현 (제주학연구센터) |
수료증 발급: 80% 이상 수강 시 수료증 배부
특전: 2022년부터 업로드 건당 일정한 수당을 받는 제주시민기록관(아키비스트)으로 활동
** 시민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참여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