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북도여지도 중 제주 ( 濟州 『全羅南北道輿地圖』)
- 2013-04-10
- 조회 1023
● 크 기 : 33.5cm × 38cm
● 제작시기 : 1700년대
● 지도형태 : 채색 필사본
● 소 장 처 : 영남대학교 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여지도 책 속의 제주목 지도와 영남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호남전도 중의 제주목 지도와 동일 계열에 속하는 지도이다. 지도책으로 되어 있고 뒷면에 제주도에 관한 지리적 사항이 자세하게 기록된 점이 눈에 띈다. 과원은 둥근 원으로 그리고 그 원안에 원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25개소의 봉수는 횃불로서 위치를 표시하고 봉수대 명칭까지 적어 놓았으며 방호소는 큼지막하게 두 개의 원으로 둘러싸고 월나촌(月羅村), 오등생리(五等生里) 등 촌명과 리명이 혼재되어 있다. 이것은 앞에 지도를 그대로 전사했기 때문이기도 하며 촌명에서 리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제작된 지도이기도 하다. 포구의 명칭도 꼼꼼히 적었으며 한라산의 산봉우리 명칭을 두리서(斗里嶼), 죽성어외(竹生於外), 고량지어외(高良智於外), 문덕어외(文德於外) 등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지도 주변에 중국, 일본, 유구, 전라도 해안 지방을 표기한 것도 여지도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