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화 <일반신본풀이> 여신 관련 텍스트 분석
- 좌혜경,조현설
- 2019-12-31
- 조회 312
Ⅰ. 서론
1. 목적과 필요성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및 자료
4. 주요 연구 내용
5. 정책과제와 활용효과
Ⅱ. 일반신 본풀이의 여신 화소 전개
1. <천지왕본풀이>의 ‘총명부인’
2. <삼승할망본풀이>의 ‘삼승할망’,‘구할망’
3. <초공본풀이>의 ‘자지명왕아기씨’와‘유정승따님애기’
4. <이공본풀이>의 ‘원강아미’와 원진국부인
5. <삼공본풀이>의 ‘가문장아기’
6. <세경본풀이>의 ‘자청비’
7. <차사본풀이>의 ‘과양셍이’와‘강님’의 처
8. <문전본풀이>의 ‘여산부인’과‘노일저대’
9. <칠성본풀이>의 ‘칠성아기씨’
10. <지장본풀이>의 ‘지장아기씨’
11. <사만이 본풀이>의 ‘사만이부인’
Ⅲ. 여신 이미지 분석
1. 여신의 탄생
2. 여신의 성장
3. 만남과 혼인
4. 자식의 탄생과 모성성
5. 곡종과 공업
Ⅳ. 여신 신화에 나타난 세계인식
1. 선과 악
2. 죽음과 재생
3. 대립과 화해
4. 욕망과 갈등
Ⅴ. 보전과 자원화를 위한 정책방안
1. 제주도 본풀이의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인정
2. 여신신화의 보전에 대한 작업
3. 여신 신화가 구연되는 굿 현장의 보존 작업
4. 제주 여신 신화 자료관 혹은 신화관 설립
5. 여신 신화를 활용한 각종 콘텐츠 개발 사업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