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성 일대 옛길의 가치규명 및 보존 활용을 위한 기본방향 연구
- 강경희·김태일·박경훈·이윤형
- 2015-12-29
- 조회 1521
<목 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2
4. 연구 방법 3
5. 연구의 기대효과 4
II. 옛길의 의미와 성격 6
1. 옛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6
2. 옛길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적 가치 11
Ⅲ. 옛길 사례 분석
1. 경기옛길 조성 사례 분석 15
2. 제주시 원도심 문화유적 및 옛길 탐방 사례 22
Ⅳ. 제주성 일대의 환경 분석 24
1. 제주성의 개요 24
2. 제주성 주변 여건 분석 27
3. 인문역사환경 35
4. 주변 문화유적 및 주요 시설 43
Ⅴ. 제주성 일대의 옛길 고증 및 현황 59
1. 고지도에 나타난 제주성의 옛길 59
2. 제주성 일대의 옛길 현황 61
3. 제주성 일대의 옛길 및 도로체계 비교 93
Ⅵ. 제주성 일대 문화공간 분포 변화 102
1. 1974년과 2013년 사이 40년간의 문화공간 분포 비교 102
Ⅶ. 제주성 일대 옛길의 보존 활용방안 125
1. 옛길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원칙 수립 125
2. 활용방안 127
3. 정책적 제언 131
참고문헌 134
ABSTRACT 137
부록 139
1. 제주시 원도심의 멸실 유적 139
2. 경기도 옛길 조성 및 관리‧운영에 관한 조례 147
3. 경기도 옛길 조성 및 관리‧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150
Ⅰ. 연구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내용 2
4. 연구 방법 3
5. 연구의 기대효과 4
II. 옛길의 의미와 성격 6
1. 옛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6
2. 옛길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적 가치 11
Ⅲ. 옛길 사례 분석
1. 경기옛길 조성 사례 분석 15
2. 제주시 원도심 문화유적 및 옛길 탐방 사례 22
Ⅳ. 제주성 일대의 환경 분석 24
1. 제주성의 개요 24
2. 제주성 주변 여건 분석 27
3. 인문역사환경 35
4. 주변 문화유적 및 주요 시설 43
Ⅴ. 제주성 일대의 옛길 고증 및 현황 59
1. 고지도에 나타난 제주성의 옛길 59
2. 제주성 일대의 옛길 현황 61
3. 제주성 일대의 옛길 및 도로체계 비교 93
Ⅵ. 제주성 일대 문화공간 분포 변화 102
1. 1974년과 2013년 사이 40년간의 문화공간 분포 비교 102
Ⅶ. 제주성 일대 옛길의 보존 활용방안 125
1. 옛길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원칙 수립 125
2. 활용방안 127
3. 정책적 제언 131
참고문헌 134
ABSTRACT 137
부록 139
1. 제주시 원도심의 멸실 유적 139
2. 경기도 옛길 조성 및 관리‧운영에 관한 조례 147
3. 경기도 옛길 조성 및 관리‧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 규칙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