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양유적과 문화 보전·활용 방안 연구
- 좌혜경·정광중
- 2013-10-31
- 조회 969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1
3. 연구의 내용 2
Ⅱ. 고문헌·고지도에 나타난 해양 유적과 문화 3
1. 고문헌에 나타난 포구 3
2. 고지도에 나타난 포구 17
3. 고문헌과 고지도에 나타난 포구 총목록 40
4. 고문헌에 나타난 소금밭 46
5. 시사점 51
Ⅲ. 해양 유적과 문화 실태조사 55
1. 조사의 방향 55
2. 제주시 55
3. 서귀포시 158
4. 조사결과 197
가. 해양유적의 일반 현황 197
나. 해양유적의 문화적 특징 200
다. 가치기준에 의한 해양유적 선정 202
Ⅵ. 해양 유적과 문화 보전·활용 방안 207
1. 해양 유적과 문화의 보전 방안 207
가. 해양 유적과 문화의 DB 구축 및 문화지도 작성 207
나. 어업유산 또는 지방 문화재지정을 위한 자원 발굴 207
다. ‘해양유적 지킴이’의 발족과 주민교육 활성화 208
라. 해양 유적과 문화의 보전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도입 209
2. 해양 유적과 문화의 활용방안 210
가. 블루투어리즘의 관광자원화 210
나. 지역자원의 재확인과 의미화를 통한 자원화 211
다. 해양문화의 스토리텔링화와 문화콘텐츠화 212
라. 테마별 장소 또는 체험(교육)코스로 개발 활용 214
Ⅴ. 연구 결과 215
참 고 문 헌 218
ABSTRACT 220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1
3. 연구의 내용 2
Ⅱ. 고문헌·고지도에 나타난 해양 유적과 문화 3
1. 고문헌에 나타난 포구 3
2. 고지도에 나타난 포구 17
3. 고문헌과 고지도에 나타난 포구 총목록 40
4. 고문헌에 나타난 소금밭 46
5. 시사점 51
Ⅲ. 해양 유적과 문화 실태조사 55
1. 조사의 방향 55
2. 제주시 55
3. 서귀포시 158
4. 조사결과 197
가. 해양유적의 일반 현황 197
나. 해양유적의 문화적 특징 200
다. 가치기준에 의한 해양유적 선정 202
Ⅵ. 해양 유적과 문화 보전·활용 방안 207
1. 해양 유적과 문화의 보전 방안 207
가. 해양 유적과 문화의 DB 구축 및 문화지도 작성 207
나. 어업유산 또는 지방 문화재지정을 위한 자원 발굴 207
다. ‘해양유적 지킴이’의 발족과 주민교육 활성화 208
라. 해양 유적과 문화의 보전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도입 209
2. 해양 유적과 문화의 활용방안 210
가. 블루투어리즘의 관광자원화 210
나. 지역자원의 재확인과 의미화를 통한 자원화 211
다. 해양문화의 스토리텔링화와 문화콘텐츠화 212
라. 테마별 장소 또는 체험(교육)코스로 개발 활용 214
Ⅴ. 연구 결과 215
참 고 문 헌 218
ABSTRACT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