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목축문화의 실태와 보전·활용방안
- 김동전·강만익
- 2014-08-20
- 조회 1176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1
2.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2
3. 선행연구 및 연구의 기대효과 3
Ⅱ. 제주도 목축문화의 역사적 조명
1. 제주도 목장의 변천과정 5
2. 고지도에 나타난 제주목장 26
Ⅲ. 제주도 목축문화의 실태조사
1. 제주도 목축문화의 원형 39
2. 제주도 목축문화의 정체성 85
3. 마을별 목축문화 실태조사 89
4.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 113
Ⅳ. 제주도 목축문화의 보전방안
1. 테우리 집단의 목축기술 구술채록 119
2. 목축문화박물관 설치 120
3. 테우리 학교 운영 123
4. 목축문화 해설사 및 스토리텔러 양성 124
5. 동아시아 목축문화연구센터 설치 126
Ⅴ. 제주도 목축문화의 활용방안
1. '헌마공신' 김만일(金萬鎰) 테마공원 조성 127
2. 한라산 상산방목 재현 131
3. 목축문화를 활용한 마을활성화 133
4. 목축문화원형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135
5. 마상무예단 육성 143
6. 테우리(牧子) 콘텐츠 개발 145
7. 제주 목축문화 축제 147
8. 제주 테우리 축제 150
9. 마을공동목장과 말산업 특구 활성화 151
10. 역사문화 관광상품 개발 152
11. 목축역사문화 현장체험학습 156
12. 세계자연유산 및 지질공원 마을활성화 158
13. 공마선 도착지와의 역사문화교류 159
Ⅵ. 연구결과 161
참 고 문 헌 167
ABSTRACT 173
1. 연구필요성 1
2.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2
3. 선행연구 및 연구의 기대효과 3
Ⅱ. 제주도 목축문화의 역사적 조명
1. 제주도 목장의 변천과정 5
2. 고지도에 나타난 제주목장 26
Ⅲ. 제주도 목축문화의 실태조사
1. 제주도 목축문화의 원형 39
2. 제주도 목축문화의 정체성 85
3. 마을별 목축문화 실태조사 89
4.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 113
Ⅳ. 제주도 목축문화의 보전방안
1. 테우리 집단의 목축기술 구술채록 119
2. 목축문화박물관 설치 120
3. 테우리 학교 운영 123
4. 목축문화 해설사 및 스토리텔러 양성 124
5. 동아시아 목축문화연구센터 설치 126
Ⅴ. 제주도 목축문화의 활용방안
1. '헌마공신' 김만일(金萬鎰) 테마공원 조성 127
2. 한라산 상산방목 재현 131
3. 목축문화를 활용한 마을활성화 133
4. 목축문화원형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135
5. 마상무예단 육성 143
6. 테우리(牧子) 콘텐츠 개발 145
7. 제주 목축문화 축제 147
8. 제주 테우리 축제 150
9. 마을공동목장과 말산업 특구 활성화 151
10. 역사문화 관광상품 개발 152
11. 목축역사문화 현장체험학습 156
12. 세계자연유산 및 지질공원 마을활성화 158
13. 공마선 도착지와의 역사문화교류 159
Ⅵ. 연구결과 161
참 고 문 헌 167
ABSTRACT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