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 지식

제주갈옷에는 대대로 이어온 제주인의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제주갈옷에 담긴 전승 지식

  1. 01
    ‘갈옷’의 명칭은 지역과 구술자에 따라서 ‘감옷’이나 ‘감든옷’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제주의 토박이 할머니들은 ‘갈옷’이라는 말보다 ‘감옷’ 명칭을 더 많이 쓰고 있다. 또한 ‘갈옷/감옷/감든옷’ 등 옷의 명칭을 통해 ‘갈, 감’의 의미도 파악할 수 있는데, ‘갈’과 ‘감’은 옷의 재료인 열매의 의미가 아니라 염료인 ‘감물’의 의미로 쓰인다. 이는 ‘감 들인다’, ‘갈 들인다’, ‘감 멕인다’는 표현 속에서 나타나며, 위의 사실로 볼 때 제주인은 ‘갈’이라는 말보다 ‘감’이라는 제주 토종의 원재료와 염색의 과정을 더욱 중시했음이 확인된다.

  2. 02
    제주갈옷의 종류 명칭 역시 도내 각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불리고 있다.

    남자들이 주로 입는 ‘갈중의’를 남원읍 지역에서는 ‘갈점벵이/갈정벵이’로 부르고, 이 지역의 ‘갈중의’는 ‘갈굴중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서 지역차가 드러난다.

    ‘갈옷’ 종류를 마을별로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3. 연번 조사 지점 갈옷 명칭 갈옷 종류 기타
    1 제주시 삼도2동 갈옷/감옷 (갈)몸뻬, (갈)쪼께 조께
    2 제주시 삼도2동 갈옷/감옷 갈적삼, 갈 중의(남), 갈굴중의, 갈몸뻬, 갈조께
    3 제주시 삼양2동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점벵이, (갈)굴중의, 갈몸뻬 등거리, 쪼끼
    4 애월읍 광령2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몸뻬
    5 애월읍 금성리 갈옷/감옷/감든옷 감든적삼, 갈적삼, 감든중의, 감든굴중의, 갈중의, 갈몸뻬, 감든쪼께, 갈등거리, 베갈등거리
    6 한림읍 명월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몸뻬 등거리
    7 한림읍 수원리 갈옷 갈중의, (갈)굴중의, (갈)몸뻬 등거리
    8 한경면 용수리 감옷/감든옷 (갈)적삼, 갈중의, (갈)굴중의, (갈)몸뻬 등거리, 쮀께
    9 한경면 낙천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굴중의, (갈)몸뻬 쪼끼, ᄌᆞ른중의
    10 대정읍 일과1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굴중의, 갈치마, 감(갈)몸뻬, 갈치마,갈등지게, (감)쪼께
    11 대정읍 신평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굴중의, 갈몸뻬 와이셔츠
    12 안덕면 사계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굴중의, 갈몸뻬, 갈조끼
    13 안덕면 감산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몸뻬 ᄄᆞᆷ바데
    14 서귀포시 법환동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점벵이, 갈몸뻬 반바지
    15 서귀포시 천지동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점벵이, (갈)굴중의 ᄄᆞᆷ바데
    16 남원읍 신흥2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갈굴중의), 갈정벵이, 갈몸뻬 줴께
    17 남원읍 태흥2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점벵이, 갈몸뻬
    18 표선면 가시리 갈옷 갈적삼, 갈중의, 갈정벵이, 갈쪼께
    19 표선면 하천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굴중의, 갈몸뻬
    20 성산읍 고성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몸뻬 어깨말이
    21 성산읍 오조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몸뻬
    22 성산읍 난산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점벵이, 갈몸뻬
    23 성산읍 신산리 갈옷/감옷 감적삼, 갈점벵이,(갈)굴중의, 감중의, 감몸뻬, 갈쓰봉, 감속곳, 감팬티
    24 구좌읍 덕천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중의, 갈몸뻬, 감몸뻬 조끼
    25 구좌읍 월정리 갈옷/감옷 감적삼, 감중의, 감몸뻬, 감속곳
    26 조천읍 와산리 갈옷 갈적삼, 갈둑지, 갈중의
    27 조천읍 북촌리 갈옷/감옷 갈적삼, 갈독지, 갈중의, 갈굴중의, 갈몸뻬, 감몸뻬
  4. 03
    제주도민의 갈옷에 대한 생각, 선호하는 이유, 갈옷의 효용성 등 갈옷에 대한 인식에서, ‘갈옷’의 느낌과 촉감에 따른 어휘와 빛나는 구술 전통이 드러난다.

    특히 ‘갈옷’의 느낌과 촉감에 따른 어휘와 빛나는 구술 전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산도록허다’, ‘ᄉᆞᆯ그랑허다’, ‘사락사락하다’는 다양한 표현은 갈옷 문화가 만들어낸 또 다른 제주의 전승 지식이자 무형자산이다.

  5. 감물을 들였을 때의 옷 상태 표현

  6. 연번 표현 구술 내용 지역
    1 바드락허다 시렁목엔 들이난 그땐 바드락헹 곱곡 건드럽곡 잘도 좋안게이. 천지동
    2 바지락허다 감옷 닥닥 털엉만 헹 바짝헌 양 입어가민 수그러져. 처음은바짝헤도 나중에라 가민 수그러졍. 바지락헌 게 좋지. 너무 바짝허면 궂고게. 긁어졍. 낙천리
    3 바짝허다 감옷 닥닥 털엉만 헹 바짝헌 양 입어가민 수그러져. 낙천리
    4 버지락허다 감옷 헐어지민게 그거 감이나 시민 들영 입곡. 버지락허여. 용수리
    5 ᄇᆞ삭허다 물 빠지민 또시 감들일 땐 그 감주셍이 물 ᄒᆞᄊᆞᆯ 놩 ᄈᆞᆺ아근에 들이민 ᄇᆞ삭헹 좋아. 일과1리
    6 빠작허다 감물들이민 빠작허지. 감옷 경허면은 모기도 잘 안 타고 몸에도 달라붙도 안 허고, 감옷이 씨원허니깐이. 월정리
    7 뻣뻣허다 아마 우리 어머니네 모기를 많이 타난 모기 허지 말렌 그 감옷을 입은 거 같아. 뻣뻣허지, 땀 안 부뜨고 사락헌 게 좋주. 월정리
    8 ᄈᆞ작허다 감들이면은 좀 ᄈᆞ작허주게. 경허민 ᄉᆞᆯ드레 안 부트니깐 이 감옷을 입기 시작헤 가지고. 오조리
  7. 갈옷’을 입었을 때의 느낌이나 감촉 표현

  8. 연번 표현 구술 내용 지역
    1 건더럽다 어렷을 때도 감옷 입은 사름이 하곡게. 감 들영. 여름 나민 건더럽게시리 입는 거난. 신산리
    2 건드럽다 여름엔 갈옷 입으민 막 건드럽주게.
    일허레 가젠 허민 갈옷 입으민 막 건드럽주게.
    시렁목엔 들이난 그땐 바드락헹 곱곡 건드럽곡 잘도 좋안게이.
    일허레 가젠 허민 갈옷 입으민 막 건드럽주게. 막 건드러와. 건드런 맛으로 입는 거.
    일과1리
    일과1리
    천지동
    난산리
    2 건드럽다 여름엔 갈옷 입으민 막 건드럽주게. 다다다
    일허레 가젠 허민 갈옷 입으민 막 건드럽주게. 다다다
    시렁목엔 들이난 그땐 바드락헹 곱곡 건드럽곡 잘도 좋안게이. 다다다
    일허레 가젠 허민 갈옷 입으민 막 건드럽주게. 막 건드러와. 건드런 맛으로 입는 거. 다다다
    3 산도록허다 갈옷은 몸에 부트지 안허고 입을수록 산도록헤, 여름에도 완전 좋아. 신평리
    갈옷 입으민 산도록ᄒᆞ여. ᄄᆞᆷ 아니 부뜨난게. 갈옷 입으민 시원헤. 수원리
    4 사락사락사락 감옷은 노동일을 태우니까게 사락사락사락. 화북2동
    5 사락사락허다 감옷은 막 사락사락허주게. 땀 안 부떠. 삼양2동
    갈옷 입으민이 갈옷이 사락사락헤 부난 몸에 부뜨지 안허난 막 시원헹 좋나게. 신흥2리
    6 사락허다 (갈몸뻬) 막 사락허여근에 살 부뜨지 아녀니깐 그것만 입어. 용수리
    삼베에 감들이민 더 사락ᄒᆞ게시리 좋고, 감 안 들여도 그 삼베는 그거 빠드락ᄒᆞ주게. 거믄 기자 또 헤영 입고. 미녕보담 더 사락헤영 좋아. 가시리
    아마 우리 어머니네 모기를 많이 타난 모기 허지 말렌 그 감옷을 입은 거 같아. 뻣뻣허지, 땀 안 부뜨고 사락헌 게 좋주. 월정리
    7 살그랑허다 저 밧디 뎅길 때 입으믄, 밧디 뎅길 땐 ᄄᆞᆷ 안 부떵 살그랑헹 좋주기게. 금성리
    8 술각술각허다 새 갈옷 입을 때 그것만 입으민 술각술각헹 ᄀᆞ려운 거 긁어진 거뿐이주. 천지동
    9 ᄉᆞ락지다 갈옷은 입으믄 ᄉᆞ락져 와산리
    10 ᄉᆞ락허다 ᄄᆞᆷ 부트지 말앙 ᄉᆞ락허게 입젠. 삼양2동
    갈옷 멘들앙 장마에도 그거 입으민 몸이 ᄉᆞ락헤근에, 칙칙허지 안헤. 게난 계속 만들아 입엇지. 신평리
    여름에 왜 감옷을 주로 입느냐 허민 땀이 안 부떠 가지고 ᄉᆞ락헨에 그 감옷을 입는 거. 법환리
    일허멍 살젠 허난 갈옷을 입어사 ᄄᆞᆷ도 안 부떵 ᄉᆞ락허고 경헌다게. 신흥2리
    어떤 사름덜은 와이샤쓰에도 감 들연 입고 일헐 땐 그거 버뭄 안 타주게. 게곡 ᄉᆞ락ᄒᆞ고 덥지 안허고. 몸에 잘 부뜨지 안헹 막 시원헤여. 덕천리
    땀 나면은 이제 땀 등어리에 부뜨지 말렌. 감 ᄉᆞ락허니까.감물 들이면은 입어 봐. 좀 ᄉᆞ락허지 안허냐? 월정리
    11 ᄉᆞᆯ그락허다 감물들이민 ᄉᆞᆯ그락헌다 이거라. ᄉᆞᆯ그락허영 땀 안 부떠. 게민 일헐 때 입곡. 법환리
    12 ᄉᆞᆯ그랑허다 갈옷 땀 안 베어근에 ᄉᆞᆯ그랑헤영 좋주게. 사계리
    갈옷을 왜 일헐 때만 그거 입냐면은 것이 ᄄᆞᆷ이 잘 안 부떠게. ᄉᆞᆯ그랑허여. 용수리
    13 ᄉᆞᆯ쿠랑허다 감물 들영은 그것이 ᄉᆞᆯ쿠랑헹. 감이 ᄒᆞᄊᆞᆯ 풀이 뻣뻣헹 쎄는 셍이라. 금성리
    14 왕시렁허다 ᄉᆞ나이덜 ᄆᆞᆯ르민 ᄉᆞᆯ캉허게 입곡 허주. 저 갈중의 빤쓰 안 입엉 입으믄 다 긁어 분덴 허고 경헤난 왕시랑허지. 걸어도 와장와장와장. 금성리
  9. 04
    갈옷의 첫 착용 시기와 성별과 지역에 따른 갈옷 착용 상황과 차이점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갈옷의 첫 착용 시점은 밭일 등을 할 수 있는 성년기나 결혼 이후가 대부분이었다. 갈옷은 중산간 마을이 해안 마을 사람들보다 더 많이 입었고, 남자보다 여자들이 갈옷을 더 많이 입고 있었다. 즉 마을마다의 환경에 따라 갈옷의 착용 방식이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면서 해당 지역이나 마을의 전승 지식과 갈옷문화로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10. 05
    갈옷을 관리하거나 세탁할 때의 유의점도 살펴보았다.

    갈옷은 쉽게 변하는 성질이 있어서 젖었을 때는 빨리 말려 주어야 하고, 세제를 사용해서 빨거나 젖으면 검게 변색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주인들은 세제가 아닌 물과 바람, 햇볕 등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갈옷 관리법에 대한 지식을 널리 공유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11. 06
    시대의 흐름과 유행에 따라 ‘갈옷’에 대한 인식도 많이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갈옷’도 시대 변천에 따라서 재질과 모양, 기법, 디자인 등을 달리하며 새롭게 혁신하고 있는 것이다. 표선면 가시리 안정생은 밭에 다닐 때 입는 옷과 외출할 때 입는 옷을 구분해서 입는다고 하였다. 옷은 때와 장소, 기능, 입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유행을 달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제보자들은 여전히 ‘갈옷’을 일복으로 선호하고 있지만 디자인과 모양 등을 현대화 하여 일상복이나 외출복 등으로 다채롭게 갈옷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제주에서는 탐라문화제 등 민속예술제가 열리거나 제주를 표현해야 하는 무대에서는 갈옷을 무대복으로 입는 경우가 많다. 갈옷이 제주 사람, 제주 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이다.


  1. 01
    기본적으로 갈옷은 일옷(노동복)으로 사용되었다.

    요즘으로 치면 서구의 ‘청바지’와 같은 작업복이었던 셈이다. 또한 일옷으로서 갈옷의 전통은 일제강점기 도입된 몸빼에도 적용되어 ‘갈몸빼’가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다.

  2. 02
    갈옷은 ‘일복’에서 ‘일상복’, ‘외출복’, ‘무대복’ 등으로 용도가 변화되면서 ‘갈옷’에 대한 인식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시대가 흐르면서 사람들은 ‘갈옷’을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만들어 입고 있다. 옷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는 일복으로 주로 입던 갈옷이 현대 복식에 맞게 재창조되면서 ‘갈옷’도 일상복부터 무대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갈옷’도 시대 변천에 따라서 재질과 모양, 기법, 디자인 등을 달리하며 새롭게 혁신하고 있는 것이다. 표선면 가시리 안정생은 밭에 다닐 때 입는 옷과 외출할 때 입는 옷을 구분해서 입는다고 하였다. 옷은 때와 장소, 기능, 입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유행을 달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제보자들은 여전히 ‘갈옷’을 일복으로 선호하고 있지만 디자인과 모양 등을 현대화 하여 일상복이나 외출복 등으로 다채롭게 갈옷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제주에서는 탐라문화제 등 민속예술축제가 열리거나 제주의 향토성을 표현해야 하는 무대에서는 갈옷을 무대복으로 입는 경우가 많다. 갈옷이 제주 사람, 제주 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이다.

  3. 03
    갈옷의 장점과 효능

    1. 갈옷을 입으면 땀이 몸에 붙지 않는다. 땀이 몸에 붙지 않으니 옷도 살갗에 달라붙지 않고 땀띠도 나지 않는다. 그러니 여름철에 시원하게 입을 수 있다.

    2. 갈옷을 입으면 통기성이 좋아 시원하다.

    3. 감물을 들이면 옷감이 질겨진다.

    4. 갈옷은 흙이나 먼지가 잘 붙지 않아 더러움이 잘 타지 않는다.

    5. 갈옷은 빗물에 강하다.

    6. 갈옷은 다림질이 필요 없다.

    7. 모기 등 해충에 강하다.

    8. 갈옷은 다양한 재활용 등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여준다.

    9. 갈옷은 헐어서 옷으로 못 입게 되어도 그냥 버리는 법이 없었다.

    10. 갈옷은 물과 햇빛, 바람으로 세탁하고 관리할 수 있다.

    11. 전통적인 감물들이기의 과학과 전승 지식은 감과 옷만 있으면 다른 첨가물이나 오염 요인 없이 염색을 완성하는 무공해 염색 기술이다.

갈옷은 쉽게 변하는 성질이 있어서 젖었을 때는 빨리 말려 주어야 하고, 세제를 사용해서 빨거나 젖으면 검게 변색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주인들은 세제가 아닌 물과 바람, 햇볕 등을 활용하는 지속 가능한 갈옷 관리 지식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1. 01
    갈옷의 원재료 ‘감’

    갈옷을 만드는 원재료인 감은 제주 토종감의 풋감을 주로 사용한다.

    제주 토종감으로는 감(쪼락진 감), ᄑᆞᆺ감, 고레감, 쉐뿔감 등 4가지가 있다.

    음력 칠월 백중 때 풋감이 탄닌 성분이 많아 감물들이기 재료로 가장 적합하다.

  2. 02
    감물(감즙) 만들기

    감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감을 으깨어 즙을 짜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낭도고리, 돌혹(돌확), 덩드렁마께 등의 도구가 필요하다.

    전통적인 방식은 풋감을 낭도고리나 돌혹에 넣고 덩드렁마께로 빻은 것을 그대로 물들일 옷에 치대는 방식이다.

    최근 들어서는 보다 깨끗한 상태로 염색하기 위해 으깬 감을 자루나 망사에 넣어 짜내서 감물을 받아내기도 한다.

    또한 믹서기나 주서기를 사용하여 즙을 내어 물을 들이기도 하고, 즙을 낸 뒤 자루나 망사에 넣어서 다시 한 번 걸러내어 사용하기도 하며, 이렇게 만든 감즙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언제든지 감물 들일 때 사용한다.

  3. 03
    감물들이는 과정

    감물들이기는 감물이 준비되면 염색할 옷에 감즙을 묻혀 치대는 작업으로 시작한다.

    감물이 옷에 잘 배이면 찌거기를 털어내고 바르게 펴는 ‘손보기’ 작업이 이어진다.

    손보기 작업이 끝나면 멍석이나 잔디밭, 지붕, 돌담 등에 널어서 말린다.

    전통적으로는 그대로 며칠 밤을 널어서 햇볕과 이슬을 맞으며 색이 나오도록 한다.

    좀더 빠르게 색을 내기 위해서는 물들여 마른 옷을 다시 물에 헹궈서 건조하는 것을 수회 반복하면 고운 색이 보다 빨리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을 ‘바래기’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