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제주해녀축제


해녀축제 축하공연_하도리_2016_《제주시수협 100년사》

정의

매년 9월 ‘해녀의 날’ 주간에 제주해녀들의 위상과 자긍심을 높이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주최하는 축제.


역사

제주해녀축제는 2007년부터 시작되었다. 2019년에는 태풍 ‘타파’ 영향으로 취소되었고, 2020년과 2021년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개최되 지 못했다. 제주해녀축제의 주관 부서도 탐라문화제집행 위원회,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 해녀박물관, 제주특별자치도로 바뀌고, 주최도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 제주특별자치도문화진흥본부, 해녀축제집행위원회,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로 바뀌어 진행되고 있다.


내용

제주해녀축제는 제주해녀문화의 우수성과 해녀의 자긍심을 높이는 문화축제로, 세계 유일의 해녀공동체 문화를 소재로 한 해양문화축제이다.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과 일요일에 구좌읍 해녀박물관 일원에서 개최된다. 2007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내용은 표와 같다.

 

<제주해녀축제 현황>

회차

일정

주관 / 주최

비고

1

2007. 10. 6.

탐라문화제집행위원회 /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

 

2

2008. 10. 10.∼10. 11.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사업회 /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진흥본부

 

-

2009.

2009년 신종플루 확산방지를 위한 행사 취소

 

3

2010. 10. 9.∼10. 10.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 / 해녀축제집행위원회

 

4

2011. 10. 15.∼10. 16.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5

2012. 9. 8.∼9. 9.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6

2013. 10. 12.∼10. 13.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7

2014. 10. 17.∼10. 19.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8

2015. 10. 2.∼10. 4.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9

2016. 9. 24.∼9. 2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10

2017. 9. 30.∼10. 1.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11

2018. 9. 21.∼9. 22.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12

2019. 9. 21. ~9. 22.

태풍 ‘타파’ 영향으로 취소

 

13

2020.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도민안전을 위해 미개최 결정

 

14

2021.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도민안전을 위해 미개최 결정

 

15

2022. 9. 24.∼9. 2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16

2023. 9. 22.∼9. 23.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해녀축제추진위원회

 


제주해녀축제는 자연과 공존하며 살아가는 해녀공동체 문화 보전·전승과 제주해녀문화 산업화·세계화 기반 구축을 목표로 하며 ‘천상의 소리 숨비소리, 온누리에 울려퍼지다’를 슬로건으로 하고 있다.
제주해녀축제 1일차에는 제주해녀문화의 주체인 제주 해녀들이 주인공이 되어 즐길 수 있는 거리 퍼레이드, 해녀굿, 해녀의 날 기념식, 해녀물질대회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2일차에는 축제 방문객이 해녀문화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바릇잡이 체험, 숨비소리길 플로깅, 어린이 사생대회, 수산물 자선경매 등의 공연, 전시, 경연, 체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특징과 의의

제주해녀축제는 해녀공동체의 역량을 집결하고 전국의 해녀들이 교류하는 소통의 장이다. 아울러 해녀문화 홍보 강화를 위한 가치 확산과 청정 제주 수산물을 홍보하고 소비촉진에 기여하는 경제 활력의 장이라는 데도 의의가 있다.


참고 문헌

제주특별자치도, 《해녀어업보전 및 문화 전승 육성 기본계획》, 2021.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문화유산과, 《제16회 제주해녀축제 기본계획》, 2023.


필자

권미선(權美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