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 > 일성록
총 1067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755 | 고문헌 | 대정 현감(大靜縣監) 박재연(朴載淵) 등에 대한 논상(論賞)을 초기로 품처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4 |
754 | 고문헌 | 비국이, 제주 목사(濟州牧使) 엄사만(嚴思晩)이 목장(牧場)의 말을 점고한 뒤에 포상(褒賞)을 청한 장계(狀啓)에 대해 복계(覆啓)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4 |
753 | 고문헌 | 제주(濟州)의 산마장(山馬場)에 쌓은 담장을 철거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3 |
752 | 고문헌 | 제주 목사(濟州牧使) 엄사만(嚴思晩)을 개차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1 |
751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승지 홍인호(洪仁浩), 유사 당상(有司堂上) 심이지(沈頤之)를 소견(召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0 |
750 | 고문헌 | 성정각(誠正閣)에서 대신(大臣) 이하를 소견(召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4 |
749 | 고문헌 | 중희당(重熙堂)에서 승지 이조승(李祖承)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67 |
748 | 고문헌 | 제주목(濟州牧)에서 진상(進上)하는 물종(物種)을 뒤미쳐 봉진(封進)할 필요가 없다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69 |
747 | 고문헌 | 탐라(耽羅)에 윤음(綸音)을 내렸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81 |
746 | 고문헌 | 금위영과 어영청의 초관(哨官)으로서 천전(遷轉)된 사람의 후임을 관동과 심도(沁都)의 무변(武弁) 중에서 취재(取才)하여 계하(啓下)받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79 |
745 | 고문헌 | 경조(京兆)가 민수(民數)를 올렸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8년 (1784) | 81 |
744 | 고문헌 | 예조와 비국이 상언(上言)에 대해 복계(覆啓)한 것을 판하(判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9년 (1785) | 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