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 > 일성록
총 1067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647 | 고문헌 | 비국과 병조의 회계(回啓)에 대해 판하(判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0년 (1786) | 67 |
646 | 고문헌 | 각 해사(該司)에 상언 72도(度)를 판하(判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0년 (1786) | 68 |
645 | 고문헌 | 중희당(重煕堂)에서 약방 제조 서유린(徐有隣)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0년 (1786) | 69 |
644 | 고문헌 | 추국을 철파(撤罷)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0년 (1786) | 68 |
643 | 고문헌 | 구선복의 지속(支屬)들을 노적(孥籍)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0년 (1786) | 78 |
642 | 고문헌 | 희정당(煕政堂)에서 대신, 비변사 당상, 경기 감사를 소견(召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43 |
641 | 고문헌 | 경기의 유생과 생원 원계하(元啓夏) 등 1000인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43 |
640 | 고문헌 | 희정당(煕政堂)에서 대신(大臣)과 비변사 당상을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43 |
639 | 고문헌 | 탐라(耽羅)가 청한 곡물을 시행하도록 하는 문제를 초기하여 품처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52 |
638 | 고문헌 | 탐라(耽羅)의 보진곡(補賑穀)을 주의하여 수송해서 기어코 순조롭게 바다를 건너게 하라고 신칙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52 |
637 | 고문헌 | 탐라(耽羅)가 바치는 공물(貢物) 중에서 각전(各殿)에 진상(進上)하는 것은 반을 감하고 각사(各司)에 납부하는 것은 내년까지 탕감해 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52 |
636 | 고문헌 | 회방인(回榜人) 안후(安後)의 어사화(御賜花)와 새 홍패(紅牌)를 그의 아들에게 만들어 주고, 특별히 한 자급을 더해 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1년 (1787) | 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