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143
고문헌
제주(濟州)의 치패선(致敗船)에 탔다가 익사한 사람들에게 휼전(恤典)을 제급(題給)하고, 이어 표류하는 사람들의 종적을 찾아서 보고하도록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43
142
고문헌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제주(濟州)의 이전곡(移轉穀)과 무곡(貿穀)을 점검을 마치고 들여보냈다고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0
141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우현(李禹鉉)에게 유배하는 법을 시행하였다. 연소한 문관으로서 전도유망한 자를 그 후임으로 차출하고 이어 백성들의 사정이 완전히 소생될 때까지 해면(解免)을 요구하지 못하게 신칙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49
140
고문헌
전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우현(李禹鉉)을 의성현(義城縣)에, 금오(金吾)의 시수(時囚) 유숙(柳)을 여주목(驪州牧)에 정배(定配)하고, 이어 이주명(李柱溟)에 대하여 경기 감사로 하여금 신문해야 할 각 사람들을 철저히 조사하여 장계로 보고한 뒤에 다시 공초를 받게 하고 한성양(韓聖養)을 엄하게 감처(勘處)하고 김직휴(金直休)와 조의진(趙義鎭)은 모두 감방(勘放)하고 초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9
139
고문헌
유사모(柳師模)를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비변사에서 천망(遷望)한 것이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1
138
고문헌
한성부가 탐라(耽羅)의 호구(戶口)와 백성 숫자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5
137
고문헌
제주(濟州) 사람 이광수 등은 무겸(武兼)에 단부(單付)하고, 나머지는 현재의 빈자리 외에 가설(加設)하여 관직에 붙였다가 자리가 나기를 기다려 실직(實職)으로 올린 다음 제주 목사로 하여금 자원을 받아서 올려보내게 하며, 한도원은 가설한 습독관(習讀官)에 단부했다가 자리가 나기를 기다려 실직으로 올리고, 진주(晉州) 사람 박지봉은 병조로 하여금 집안 내력을 조사하여 보고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63
136
고문헌
목면(木綿) 500필과 전(錢) 4000냥, 호초(胡椒 후추) 100말, 단목(丹木) 300근을 제주에 특별히 내려 진휼할 물자에 보태도록 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8
135
고문헌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를 추고하고 이어서 소명(召命)을 내린 위백규(魏伯珪)를 엄히 신칙하여 올라오게 하라고 명하였다. 또 소명을 내린 영남의 장윤종(張胤宗)은 본직(本職)을 개차(改差)하고 그대로 군직(軍職)에 붙여 경상도로 하여금 특별히 이달 치 녹봉을 지급하게 하고, 이조를 신칙하여 해당 도신 이태영(李泰永)이 태만하고 소홀히 한 죄를 엄히 심문한 뒤에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63
134
고문헌
나리포창(羅里舖倉)을 다시 설치하라고 명하고, 조진관(趙鎭寬)과 서용보(徐龍輔)를 구관 당상(句管堂上)으로 차임하고 이어서 서용보를 비변사 당상으로 차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65
133
고문헌
부안(扶安) 등 5개 고을에서 제주(濟州)로 들여보내는 곡물 중에 불에 타고 물에빠뜨려 잃어버린 것은 이전조(移轉條)로 시행하여 규례대로 급대(給代)하라고 명하고, 이어서 영운 차사원(領運差使員)의 죄는 지금은 일단 보류해 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6
132
고문헌
전 제주 판관(濟州判官) 홍이조(洪履祚)를 의금부로 잡아다 처리하도록 한 것을 용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0년 (1796)
조회 :
58
first_page
chevron_left
78
79
80
81
82
83
84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