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사

25884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1716 고문헌 예조에서 제주목이 바친 청귤이 썩어 진상하지 않도록 명할 것을 건의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2년(1778) 88
1715 고문헌 이찬의 처를 백령진에 출치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1년(1777) 81
1714 고문헌 이찬을 추대하여 반정을 꾀하려던 일당을 복주시키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1년(1777) 88
1713 고문헌 죄인 홍찬해에게 엄중히 가주하도록 명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1년(1777) 86
1712 고문헌 홍계능·홍찬해 등의 천극을 엄히 가하고 이들을 잘 검칙하지 못한 관리를 엄히 다스리라 명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1년(1777) 85
1711 고문헌 한 섬에 같이 있는 김치현·김치량을 다른 섬으로 이배시키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1년(1777) 82
1710 고문헌 김치현과 한 고을에 유배된 까닭으로 흑산도에 찬배된 홍찬해를 정의현으로 이배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즉위년(1776) 89
1709 고문헌 제주 자제들에게 베를 내리도록 명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즉위년(1776) 91
1708 고문헌 제주 백성들이 능의 역사에 부역하러 오니 양식을 넉넉히 주라 하교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즉위년(1776) 87
1707 고문헌 유강을 가자하고 유혁은 표리로 상을 주도록 명하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정조 즉위년(1776) 86
1706 고문헌 제주에 진자곡을 보내도록 명하고, 제주 백성을 위유하는 윤음을 지어 내리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영조 51년(1775) 66
1705 고문헌 제주 사람을 불러 농형 등을 묻고, 유강을 제주 독운 어사로 삼다 예문관 국사편찬위원회 영조 51년(1775)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