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총 25884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480 | 고문헌 | 제주에서 목자들이 우마를 도살하는 폐단을 개선코자 세준마의 정수대로 징수하기로 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100 |
479 | 고문헌 | 세종의 초상화를 그리는 문제와 제주에 감목관을 파견하는 문제를 논의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7 |
478 | 고문헌 | 전라도에 전지를 내려 제주에서 기르던 원숭이를 잘 기르고 번식시키를 명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7 |
477 | 고문헌 | 제주에 교지를 내려 진상하는 모마장을 마·우피 등으로 장식하여 진상하라고 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7 |
476 | 고문헌 | 제주·정의 등 3개 읍 인민에게 부족한 쌀·콩·잡곡 등의 구황곡을 운송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4 |
475 | 고문헌 | 제주 선위별감 윤처공이 호초와 저피를 바치니 제주에 전지하여 이를 잘 키우도록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5 |
474 | 고문헌 | 제주 선위별감 윤처공이 제주에서 왜인을 포착한 각인의 공로를 등급대로 아뢰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5 |
473 | 고문헌 | 제주 인민에게 환자 양곡 등을 보내는 문제를 토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9 |
472 | 고문헌 | 전의감 제조 황자후가 약제를 진상하는 방법과 조제하는 법 등을 상언하여 올리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0 |
471 | 고문헌 | 전라도 감사에게 전지를 내려 제주의 정의·대정의 구호 상황을 시찰하고 이를 구제토록 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4 |
470 | 고문헌 | 고을 수령이 처자를 데리고 부임하는 문제에 대한 상세한 규칙을 정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5년(1433) | 89 |
469 | 고문헌 | 원민생·허성·최사의·남지·봉여·김인·김득종·전광의·배둔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5년(1433) |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