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제주사일반
총 23950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334 | 고문헌 | 이맹진·최사의·허후·최경명·박안신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9 |
333 | 고문헌 | 계모의 상을 당한 제주 목사 이붕으로 그대로 군민을 통할하게 하는 것이 합당한지를 논의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1 |
332 | 고문헌 | 제주 안무사 이붕이 감로가 내린 데 대한 축하의 전문을 올리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9 |
331 | 고문헌 | 제주에서 목장을 축조하여 마필을 기르는 것의 편의 여부를 알아볼 것을 사복시 제조가 아뢰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1 |
330 | 고문헌 | 감목관의 임명에 관해 이조에서 아뢰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5 |
329 | 고문헌 | 제주에서 목자들이 우마를 도살하는 폐단을 개선코자 세준마의 정수대로 징수하기로 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94 |
328 | 고문헌 | 세종의 초상화를 그리는 문제와 제주에 감목관을 파견하는 문제를 논의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9 |
327 | 고문헌 | 전라도에 전지를 내려 제주에서 기르던 원숭이를 잘 기르고 번식시키를 명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9 |
326 | 고문헌 | 제주에 교지를 내려 진상하는 모마장을 마·우피 등으로 장식하여 진상하라고 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89 |
325 | 고문헌 | 제주·정의 등 3개 읍 인민에게 부족한 쌀·콩·잡곡 등의 구황곡을 운송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75 |
324 | 고문헌 | 제주 선위별감 윤처공이 호초와 저피를 바치니 제주에 전지하여 이를 잘 키우도록하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79 |
323 | 고문헌 | 제주 선위별감 윤처공이 제주에서 왜인을 포착한 각인의 공로를 등급대로 아뢰다 | 예문관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 16년(1434) | 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