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 > 일성록
총 1067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1031 | 고문헌 | 제주(濟州)의 물에 빠져 죽은 사람에게 휼전(恤典)을 지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83 |
1030 | 고문헌 | 제주(濟州)의 부역(赴役)한 백성이 죽은 데 대해 돌보아 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1 |
1029 | 고문헌 | 사복시가 제주(濟州)의 선운(先運) 공마(貢馬)의 수를 아뢰었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5 |
1028 | 고문헌 | 공마(貢馬)를 여러 신하들에게 반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1 |
1027 | 고문헌 | 사복시가 제주(濟州)의 후운(後運) 공마(貢馬)의 수를 아뢰었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0 |
1026 | 고문헌 | 사복시 제조, 개건도감(改建都監) 당상, 국장도감(國葬都監) 당상과 낭청, 경기 감사, 호조 판서 및 총융사(摠戎使)를 흥정당(興政堂)에서 소견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68 |
1025 | 고문헌 | 승지를 보내어 원릉(元陵)에 나아가서 봉심(奉審)하고 오라고 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6 |
1024 | 고문헌 | 제주(濟州)의 자제들에게 찬품(饌品)을 내린 뒤에 베를 사급(賜給)하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1 |
1023 | 고문헌 | 중관(中官) 강덕엽(姜德燁)을 정의현(旌義縣)에 보내어 종으로 삼으라고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2 |
1022 | 고문헌 | 제주 어사 유강(柳焵)을 파직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6 |
1021 | 고문헌 | 제주(濟州)에서 중산마(中山馬)를 식년(式年)마다 봉진하도록 명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72 |
1020 | 고문헌 | 정사가 있었다. 이조 판서 이휘지(李徽之), 참판 심이지가 나왔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즉위 (1776) | 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