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역사 > 일성록

1067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983 고문헌 죄인이 같은 고을에 겹쳐 정배된 경우에는 초기(草記)하여 옮겨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56
982 고문헌 의금부가 국청의 죄인 이기동(李奇同) 등을 정배하고 홍대섭(洪大燮)을 이배하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59
981 고문헌 의금부가 창성부(昌城府)에 정배한 죄인 조완(趙)을 제주목(濟州牧)에 이배하겠다고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62
980 고문헌 형조가 죄인 윤태연(尹泰淵)의 죄에 응좌(應坐)된 사람들을 귀양 보내는 일로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60
979 고문헌 영의정 김상철(金尙喆)이 제주목(濟州牧)의 재실 분등 장계(災實分等狀啓)를 복계(覆啓)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원년 (1777) 68
978 고문헌 융효문(戎孝門) 밖에 나아가 탐라(耽羅)에서 공물로 바친 말을 나누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47
977 고문헌 탐라도(耽羅島)의 백성이 육지로 나가 살고 팔로(八路)의 사람들이 섬으로 들어가 사는 폐단을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76
976 고문헌 성정각에서 대사성 유당(柳戇)을 소견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40
975 고문헌 종으로 삼은 죄인 조재천(趙載天) 등을 이배(移配)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48
974 고문헌 형조에서 올린 두 도(道)의 방미방 계본(放未放啓本)에 대한 회계(回啓)를 판하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58
973 고문헌 관서(關西)와 호남(湖南)의 방미방 회계(放未放回啓)를 판하(判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45
972 고문헌 죄인 이보온(李普溫) 등을 정배(定配)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년 (1778)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