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 > 일성록
총 1067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 유형 | 제목 | 저자명 | 소장처 | 생산연도 | 조회 |
---|---|---|---|---|---|---|
503 | 고문헌 | 부사직(副司直) 권도(權噵) 등을 추고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4 |
502 | 고문헌 | 전라도 유생 박태규(朴泰奎) 등 273인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8 |
501 | 고문헌 | 각 해사(該司)에 상언(上言) 270도(度)를 판하(判下)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71 |
500 | 고문헌 | 안치(安置)한 죄인 유언호(兪彦鎬)를 특별히 풀어 주었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70 |
499 | 고문헌 | 대사간 홍병성(洪秉聖)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5 |
498 | 고문헌 | 이홍운(李鴻運)을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비천(備薦)이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72 |
497 | 고문헌 | 전(前)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철모(李喆模)가 분진(分賑)한 상황에 대해 치계(馳啓)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9 |
496 | 고문헌 | 대사간 심환지(沈煥之)에게는 견삭(譴削)하는 법을 시행하고 장령 황장(黃樟)에게는 간삭(刊削)하는 법을 시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74 |
495 | 고문헌 | 대사면(大赦免)을 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8 |
494 | 고문헌 | 대궐에 입직한 제신(諸臣)과 이례(吏隸), 군졸(軍卒)에게 차등 있게 시상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6 |
493 | 고문헌 | 희정당(熙政堂)에 나아가 도목 정사를 행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67 |
492 | 고문헌 | 제주마(濟州馬)의 봉진(封進)에 대해 신칙하였다. | 일성록 | 한국고전종합DB | 정조14년 (1790) |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