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455
고문헌
영화당(暎花堂)에 나아가 탐라(耽羅)에서 공상(貢上)한 말을 나누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47
454
고문헌
사복시가 탐라(耽羅)에서 공상(貢上)한 말 가운데, 물에 떠내려가거나 사고로 죽은 수효 및 실제로 공납한 수효에 대해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49
453
고문헌
구성부(龜城府)에 정배한 죄인 정존중(鄭存中)은 그대로 그 지역에 안치(安置)하고, 절도(絕島)에 찬배(竄配)한 죄인 박규순(朴奎淳)은 배소(配所)를 서북도(西北道)로 옮겨 정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45
452
고문헌
죄인 신기현은 사형을 감하여 도배(島配)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44
451
고문헌
탐라(耽羅)에서 공물로 바치는 과일을 두 번째로 영운해 온 사람들을 모두 불러서 농사의 형편을 물어본 뒤 돌아갈 양식을 나누어 주고, 이어서 모두 도착할 때까지 규례에 의거하여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48
450
고문헌
구성부(龜城府)에 정배한 죄인 정존중(鄭存中)은 그대로 그 지역에 안치(安置)하고, 절도(絕島)에 찬배(竄配)한 죄인 박규순(朴奎淳)은 배소(配所)를 서북도(西北道)로 옮겨 정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45
449
고문헌
노인직(老人職)에 대해 하비(下批)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70
448
고문헌
의금부는 시수(時囚) 이현민(李顯民)은 우선 풀어 주고, 전 충청 감사 박천형(朴天衡)은 교귀(交龜)하거든 잡아다 신문한 뒤에 조사해서 아뢰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68
447
고문헌
희정당(熙政堂)에서 서울과 지방에서 올린 전최(殿最)를 열어 보았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72
446
고문헌
100세 및 8, 9십 세 노인에게는 미육(米肉)을 세찬(歲饌)의 예대로 제급하고, 그중 100세 노인인 전 지사(知事) 이여상(李如尙)은 특별히 한 자급을 올려 주고 의자(衣資)를 넉넉히 지급하며, 문관, 음관(蔭官), 무관으로 도류(徒流)나 파삭(罷削) 이하의 죄명 및 사서(士庶)로서 도류나 경죄(輕罪)를 지은 사람은 모두 탕척(蕩滌)해 주며, 유생으로서 정거(停擧)된 자도 용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73
445
고문헌
중희당(重熙堂)에서 호남 구관 당상(湖南句管堂上) 서유린(徐有隣)을 소견하였다. 호남의 곡물 1만 섬을 차원(差員)을 정하여 제주목(濟州牧)으로 이전(移轉)해 주고, 배가 출발하는 곳과 도착할 곳에서는 모두 해신(海神)에게 제사를 지내되 제문은 직접 지어 주겠고, 제주목에서 바쳐야 할 삭선(朔饍)과 방물(方物)은 보릿가을까지 정지하고, 경각사(京各司)에 바치는 것과 각 시(寺)의 노비 신공미(身貢米) 당년조는 모두 탕감해 주고, 영운(領運)하여 올라온 백성에게는 옷과 양식을 지급하여 내려보내고, 체납된 환곡은 정퇴해 주고 올해의 환곡은 분수를 정하여 정퇴해 달라는 일 등은 모두 제주 목사가 장계(狀啓)에서 청한 대로 시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76
444
고문헌
한성부가 금년의 호구와 백성 숫자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68
first_page
chevron_left
50
51
52
53
54
55
56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