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419
고문헌
전라 감사 정민시(鄭民始)가 제주(濟州)로 이전할 곡물을 차사원을 정하여 도회소(都會所)가 있는 고을의 후풍소(候風所)로 거느리고 가서 넘겨주게 한다고 급히 장계(狀啓)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69
418
고문헌
한성부가 금년의 호구와 백성 숫자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6년 (1792)
조회 :
66
417
고문헌
장령 강봉서(姜鳳瑞)는 오늘 안으로 정사(呈辭)하고 돌아가 근친(覲親)하라고 특별히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52
416
고문헌
탐라(耽羅)의 공마 281필을 나누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48
415
고문헌
경기 감사 정창순을 함사로 추고하고, 윤치성(尹致性)을 교동부 위유 어사(慰諭御史)로 차하(差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45
414
고문헌
비변사가 장용외영(壯勇外營)의 친군위 절목(親軍衛節目)에 대해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55
413
고문헌
탐라(耽羅)에서 재실(災實)의 등급을 나눈 것과 요청한 여러 가지 조항은 장계의 내용대로 시행하고 기민(饑民)을 구제하는 방도는 어사가 내려간 뒤에 이치를 따져 장계로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52
412
고문헌
차대(次對)를 오늘로 당겨 정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48
411
고문헌
호조 참판 이의직(李義直)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44
410
고문헌
행 부사직 이병정(李秉鼎)과 정범조(丁範祖)가 상소한 데 대해, 내가 상소를 가지고 있겠다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47
409
고문헌
지평 유악주(兪岳柱)가 피혐 계사를 올린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59
408
고문헌
선전관 양협(梁埉)ㆍ심유조(沈有祖)ㆍ이인달(李仁達)은 병조 판서로 하여금 교관(郊館)에서 개좌(開坐)하여 크게 위의(威儀)를 베풀고 곤(棍) 30도(度)를 엄하게 쳐서 섬에 충군(充軍)하게 하고, 이동선(李東善)ㆍ이주봉(李周鳳)ㆍ김준악(金峻岳)ㆍ유상두(柳相斗)ㆍ허빈(許彬)ㆍ김진정(金鎭鼎)ㆍ원영린(元永麟)ㆍ전우성(田遇聖)은 모두 엄하게 곤을 쳐 태거(汰去)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7년 (1793)
조회 :
50
first_page
chevron_left
50
51
52
53
54
55
56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