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35
고문헌
전 대정 현감(大靜縣監) 고한록(高漢祿)은 복직(復職)시키고 승진시켜서 서용(敍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69
34
고문헌
제주의 여러 해 체납된 환곡을 3분의 1만 거두고 노비는 신공미(身貢米) 1말을 탕감해 주고, 남정(男丁)은 대동미(大同米) 1되를 탕감해 주는 것을 모두 장계에서 청한 대로 시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66
33
고문헌
전라 감사 이득신(李得臣)이 제주에 표류해 온 청인(淸人)에 대해 문정(問情)한 것으로 급히 장계를 올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54
32
고문헌
대정 현감(大靜縣監) 홍삼필(洪三弼)은 하직 인사를 하지 말고 부임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70
31
고문헌
전라 감사 이득신(李得臣)이 창락 찰방(昌樂察訪) 변경붕(邊景鵬)을 파출(罷黜)해야 한다고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48
30
고문헌
시수 변경붕(邊景鵬)을 조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47
29
고문헌
금오(金吾)의 여러 당상이 연명(聯名)으로 상소하여 죄인 변경붕(邊景鵬)을 철저하게 신문하여 실정을 알아내기를 청한 데 대해, 변경붕을 그가 찰방으로 있던 창락(昌樂)으로 방축(放逐)하라고 명하였다. 또 동지의금부사 신기(申耆)와 승지 이상도(李尙度)를 체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51
28
고문헌
의금부의 시수(時囚)를 감죄(勘罪)하고 풀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52
27
고문헌
사복시가, 전 대정 현감(大靜縣監) 등이 체임(遞任)되면서 봉진(封進)한 말이 올라왔다고 아뢴 데 대해, 그중 좋은 말이 될 수 있는 말을 바친 봉진관(封進官)은 이름을 물어서 논상(論賞)하고, 군두(群頭)는 전례를 살펴 시상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49
26
고문헌
전 대정 현감(大靜縣監) 고한록(高漢祿)은 복직(復職)시키고 승진시켜서 서용(敍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53
25
고문헌
형조의 죄수 양이재(梁二才)는 율문(律文)을 상고하여 엄히 감죄(勘罪)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58
24
고문헌
금오(金吾)의 시수(時囚) 홍이간(洪履簡)은 철저히 캐물어서 실정을 밝혀내고, 윤양검(尹養儉)은 각별히 엄히 감죄(勘罪)하고, 심공저(沈公著)는 법을 어긴 여러 조항에 대해 다시 엄하게 신문하고, 신사원(申史源)은 공죄(公罪)로 감률(勘律)하고 이어 이조에 지시하여 폐단이 없는 고을의 수령과 자리를 바꾸어 주게 하고, 서계수(徐季修)와 남성로(南省老)는 조율(照律)하고, 윤행철(尹行喆)은 엄하게 조율하고, 고한록(高漢祿)은 용서하여 풀어 주며, 김낙조(金樂祖)는 감죄하고 풀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22년 (1798)
조회 :
57
first_page
chevron_left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