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311
고문헌
제주 대정현(大靜縣)의 전 오위장(五衛將) 이형수(李亨秀)를 병조에서 특례로 수용(收用)하고, 홍수관(洪受寬) 등 2인은 제주 목사(濟州牧使)에 맡겨 도신과 더불어 상의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수용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7
310
고문헌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받은 제주 대정현(大靜縣)의 유생(儒生) 김명헌(金命獻)을 내년 과거 급제자를 발표할 때에 방목(榜目)의 끝에 붙이고, 화패(花牌)를 내려보내고 제주 객사(客舍)의 뜰에서 급제자로 이름을 불러 주고 사은숙배(謝恩肅拜)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3
309
고문헌
제주 목사 심낙수(沈樂洙)가 장계하여 제주도의 세 고을이 풍재(風災)를 당한 상황을 진달하고, 이어서 절미(折米) 2만여 섬을 배로 수송해 줄 것을 청하였는데, 전라 감사에게 연읍(沿邑)의 곡식 1만 섬을 구획(區劃)하라고 명하고, 이어서 신임 목사 이우현(李禹鉉)에게 5000섬을 10월까지 영운(領運)하며, 대내(大內)에서 내리는 진휼 물자는 본도의 정기적인 부세(賦稅)와 공화(公貨)로 5000포(包)를 채우라고 명하였다. 초봄 이후에 정해진 규식 외에 별도로 한 차례 더 순행하여 넉넉히 음식을 먹여 주라고 명하였다. 또 감사에게 연읍의 백성과 선부(船夫)를 특별히 보살펴 주고 본도(本島)에서 어공(御供)으로 바치는 물건 및 경사(京司)에 바치는 여러 물종을 천신(薦新)에 사용하는 것 외에는 내년 보릿가을까지 감하며, 목사의 행차에 향축을 보내어 제사를 행하게 한 뒤에 배를 출발시키라고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5
308
고문헌
전 제주 목사 심낙수(沈樂洙)를 추고(推考)하였다. 제주에서 재실리(災實里)로 등급을 나누는 것은 장계에서 청한 대로 시행하고, 올해의 환곡 중 우심재리(尤甚災里)에는 10분의 9를, 지차리(之次里)에는 3분의 2를, 초실리(稍實里)에는 절반을 정퇴하며, 번(番)이 면제된 군관의 신역(身役)은 절반을 정퇴하고, 노비(奴婢)의 신공미(身貢米)와 남정(男丁)의 대동미(大同米)는 절반을 탕감하며, 군병의 조련(操鍊)은 정지하고, 노비를 추쇄하고 빚을 징수하는 것을 막아 주며, 영읍(營邑)의 수미(需米)는 대략 거두라고 명하였다. 이어 노약자(老弱者)로서 의지할 데가 없는 부류를 각 고을에 나누어 보내 관청 건물이나 토굴(土窟)에서 머물게 허락하고, 우심재리의 빌어먹는 사람 중에 가호(家戶)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기민을 뽑는 데에 들어가지 못한 자에게도 이번 10월 초부터 인원수를 헤아려 환곡을 나누어 주어 우선적으로 구제하고, 부유한 백성의 남는 곡물을 통장(統長)에게 나누어 주어 보태 쓰게 하는 일도 모두 시행하게 하였다. 또 신임 목사 이우현(李禹鉉)은 선운(船運)해 간 것 및 이미 구획(區劃)한 것 이외에 부족한 것이 있으면 도신과 상의하여 곡물을 더 청하라고 유시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9
307
고문헌
대정 현감(大靜縣監) 정운제(鄭運躋)를 맥추(麥秋) 때까지 잉임(仍任)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7
306
고문헌
영중추부사 채제공(蔡濟恭)이 최소(崔熽)를 처분한 일로 차자를 올려 스스로 인책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6
305
고문헌
노인직을 받을 서울과 지방의 노인에게 노인직을 가자하는 것으로 하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6
304
고문헌
순천 부사(順天府使) 홍술조(洪述祖), 인천 부사(仁川府使) 민백준(閔百準), 신천 군수(信川郡守) 이소(李素), 옥천 군수(沃川郡守) 정재운(丁載運), 지례 현감(知禮縣監) 이병순(李秉淳)은 모두 그 직명을 간삭(刊削)하고 그 지방에 나누어 정배하라고 명하였다. 조금 있다가 모두 간삭한 다음에 방축향외(放逐鄕外)하는 것으로 전지(傳旨)를 봉입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6
303
고문헌
한성부가 제주(濟州) 세 읍(邑)의 계축년(1793, 정조17) 백성의 수를 아뢰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1
302
고문헌
중희당(重熙堂)에서 승지 서영보(徐榮輔), 각신 서유방(徐有防)ㆍ윤행임(尹行任)을 소견하고, 상언(上言) 87도(度)를 판하(判下)한 뒤에 기한 안에 회계하라고 신칙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55
301
고문헌
제주(濟州)의 무사 중 초시에 입격한 사람들은 즉시 초기(草記)하며, 입격하지 못한 자는 경과와 알성시 초시에서 각각 소포(小布) 1순과 유엽전 1순을 시취하여 1발 이상을 맞힌 사람을 초기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1
300
고문헌
제주(濟州)의 노인연(老人宴)을 받은 노인에 대한 가자(加資)와 이번에 노인직을 받은 사람으로서 가자해야 할 노인에 대한 가자를 모두 하비(下批)하고, 장본(狀本)에 포함되지 못한 사람과 70세 이상으로서 해로(偕老)한 사람을 모두 구별하여 장계를 작성해서 아뢰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70
first_page
chevron_left
64
65
66
67
68
69
70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