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251
고문헌
판의금부사 홍양호(洪良浩)를 삭직(削職)하고, 동지의금부사 이한풍(李漢豐)ㆍ이의필(李義弼)ㆍ김이익(金履翼)을 체차하고, 승지 김면주(金勉柱)ㆍ이조원(李肇源)ㆍ송민재(宋民載)를 파직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0
250
고문헌
사간 이현도(李顯道)를 흑산도(黑山島)에 정배(定配)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4
249
고문헌
신방(新榜) 안형직(安衡稷)은 첨지에 단부(單付)하고, 탐라(耽羅)의 문신 이태상(李台祥) 등은 먼저 주서에 부직(付職)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8
248
고문헌
정리곡(整理穀)을 팔도(八道)와 삼도(三都)에 나누어 주었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9
247
고문헌
함흥과 영흥의 입격(入格)한 유생과 무사에게 차등 있게 시상하고, 내각은 《풍패빈흥록(豐沛賓興錄)》을 간행하여 반포(頒布)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5
246
고문헌
비국이 호남 어사 정만석(鄭晚錫)이 올린 별단(別單)의 여러 조항에 관하여 회계(回啓)한 데 대해, 다시 더 이치를 따져 초기(草記)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5
245
고문헌
비변사가 호남 암행 어사 정만석(鄭晩錫)이 별단에서 논열한 조목들에 대해 회계(回啓)하고 해당 어사를 추고하기를 청한 데 대해 추고하지 말라고 명하고, 이어 대신의 일을 대행한 유사 당상(有司堂上)은 모두 추고하고 앞으로 다시 예전의 습관을 답습하면 곧바로 위제율(違制律)로 논감(論勘)하겠다고 명하였으며, 이어 어세(漁稅), 염세(鹽稅), 선세(船稅)에 관한 일은 삼남(三南)의 관찰사에게 관문(關文)으로 물어보고, 차원(差員)을 엄히 신칙하며, 강진(康津)의 고(故) 참봉 황대중(黃大中)과 영암(靈巖)의 신술현(愼述顯) 형제는 모두 정려(旌閭)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5
244
고문헌
천신(薦新) 및 각종 제사에 사용할 것 이외에는 탐라(耽羅)에서 공물(貢物)로 바치는 과일을 모두 내년 가을까지 면제해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2
243
고문헌
내일 춘당대(春塘臺)에서 감제(柑製)를 설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60
242
고문헌
탐라(耽羅)로 배에 실어 보낼 곡물과 사서 보내는 곡물에 대해 전라 감사에게 묻고 형편에 따라 배로 운반한 뒤 장계로 보고하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1
241
고문헌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가 탐라(耽羅)로 보내는 무곡(貿穀)을 다 실어 발송하였다고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7
240
고문헌
판의금부사 홍양호(洪良浩)를 삭직(削職)하고, 동지의금부사 이한풍(李漢豐)ㆍ이의필(李義弼)ㆍ김이익(金履翼)을 체차하고, 승지 김면주(金勉柱)ㆍ이조원(李肇源)ㆍ송민재(宋民載)를 파직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3
first_page
chevron_left
64
65
66
67
68
69
70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