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299
고문헌
위유안핵순무시재 어사(慰諭按覈巡撫試才御史) 심낙수(沈樂洙)를 특별히 승진시켜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삼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폐막(弊瘼)은 편의에 따라 바로잡고, 창고를 설치하는 문제는 묘당에서 내게 물어 처리하게 하며, 제주도 유생(儒生)의 입격한 시권(試劵) 중 수석을 차지한 사람이 지은 것을 외각(外閣 교서관)에서 인쇄하여 보내게 하고, 무과(武科)에 응시한 사람 중 급제(及第) 자격을 준 사람과 문과(文科)에서 입격한 사람은 내년 봄에 올려보내 동시에 창방(唱榜)할 수 있도록 하며, 전(前) 목사(牧使) 이철운(李喆運)은 의금부로 잡아오거든 엄히 형추(刑推)하여 공초(供招)를 받은 뒤에 법에 따라 엄히 다스리고, 수령의 학대를 도와 백성을 못살게 군 장교와 아전은 곤장을 쳐서 엄히 다스리며, 양지온(梁之蘊)은 더욱더 엄히 처리하고, 구렁을 전전하다 죽어 간 사람이 가장 많은 곳에 고아와 과부를 모아 놓고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내며, 3개 읍(邑)의 기민(饑民)은 마음을 다해 구제하고, 안핵(按覈)에 대한 장본(狀本)은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에게 돌려가며 보여 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5
298
고문헌
제민창(濟民倉)을 강진(康津)이나 해남(海南)으로 옮겨 설치하는 것이 편리한지 여부를 도신이 상세히 탐문하여 보고하게 하고 보고가 올라오면 다시 내게 물어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4
297
고문헌
제주 어사(濟州御史) 심낙수(沈樂洙)가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70
296
고문헌
제주(濟州)의 목장(牧場) 중 말을 방목하는 데 해가 되지 않는 곳에서는 경작하도록 다소 허락하고 거기에서 나오는 세곡(稅穀)을 각 둔(屯)에서 잃어버린 말을 대신 세우는 값으로 삼으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0
295
고문헌
제주 판관(濟州判官)은 간간이 시종(侍從)으로 융통하여 차출해서 보내고 대정현(大靜縣)과 정의현(旌義縣) 두 읍의 수령도 지벌과 장래가 있는 사람으로 때때로 가려 차임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4
294
고문헌
경모궁(景慕宮)에 나아가 전배(展拜)하고 도로 관기교(觀旂橋)에 이르러, 공경히 맞이한 유생과 궁계(宮契)의 유생은 응제(應製)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6
293
고문헌
전 제주 목사(濟州牧使)가 체임(遞任)되면서 진상한 말을 물리치되 본시(本寺)에서 처리하고 제주목에 도로 기록해 두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6
292
고문헌
집의 최중규는 체차하고 지평 홍극호(洪克浩)는 삭직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7
291
고문헌
제주(濟州) 3개 읍의 식생활이 어려운 백성을 유의하여 구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7
290
고문헌
논(論), 책(策), 시(詩), 부(賦), 명(銘), 송(頌) 등 각 시제(試題)로 시취(試取)한 제주(濟州)의 유생(儒生) 중에서 수석을 차지한 사람과 81세로 입격(入格)한 사람에게는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시할 자격을 주고 그 나머지의 입격한 유생에게는 시상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9
289
고문헌
정의(旌義)의 고(故) 학생(學生) 오흥태(吳興泰)와 제주(濟州)의 고 효자(孝子) 박계곤(朴繼昆)에게는 정려(旌閭)의 은전을 특별히 시행하고, 박계곤의 손자 박중환(朴重煥)은 부장(部將)에 단부(單付)하고 천거한 인재 중 정의의 전(前) 좌랑(佐郞) 강성익(姜聖翊)은 병조 낭청에 감별하여 녹용(錄用)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8
288
고문헌
시수(時囚) 이철운(李喆運)의 일은 대신의 의견대로 시행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8년 (1794)
조회 :
68
first_page
chevron_left
64
65
66
67
68
69
70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