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메뉴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닫기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학 아카이브
검색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테마 아카이브
제주 갈옷
제주도 무형유산
센터사업
센터사업
비전
주요사업
사업일정
보도자료
연구성과
연구성과
제주학총서
제주역사자료총서
연구보고서
세미나 및 강좌 자료
언론보도
열린마당
열린마당
센터소식
공개채용
포토갤러리
제주학동향
제주학 연구자등록
센터소개
센터소개
인사말
연혁
조직 및 구성원
경영정보
찾아오시는 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business
센터소식
inventory_2
제주학 아카이브
import_contacts
제주어사전 다운로드
checkroom
제주갈옷 아카이브
diversity_1
제주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ome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 아카이브
센터사업
연구성과
열린마당
센터소개
사이트도우미
아카이브 분류체계
아카이브 통합검색
신규등록 DB
자료기탁 안내
오픈 아카이브
분야별
매체별
category
총류
psychology
철학
종교
사회과학
science
순수과학
precision_manufacturing
기술과학
palette
예술
translate
언어
auto_stories
문학
auto_stories
역사
전체
제주학
연보
학술조사
기타
전체
무속
불교
기타
전체
여성
문화
민속
사회
교육
행정·법
관광
경제
정치
기타
전체
동물
식물
환경
해양
지질
기타
전체
의·식·주
건축
농축업
수산업
의학
산업
기타
전체
음악
미술
기타
전체
제주어
기타
전체
구비문학
현대문학
기타
전체
고고
지리
제주사일반
사회
문화
4.3
인물
항일운동
기타
dns
제주학DB
translate
고문헌
public
해외문헌
map
고지도
photo
사진
play_circle
동영상
mic
음성
article
신문기사
history_edu
제주역사
전체
버섯
야생화
노루
곤충
새
목축
포구
해녀
무속
오름
지역사회
원담
성읍
문화재
역사기사
해녀음식
민속
전체
한라산
자연유산
제주인
해녀
문화상징
대한뉴스
민요
제주어
무속
제주사
기타
전체
구비전승
민요
생애사
제주어
기타
전체
제민일보
한라일보
제주신보
역사신문
제주대신문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제주역사 > 일성록
전체
제목
내용
저자명
소장처
연도
검색
총
1067
개의 내용이 있습니다.
번호
유형
제목
저자명
소장처
생산연도
조회
239
고문헌
사간 이현도(李顯道)를 흑산도(黑山島)에 정배(定配)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4
238
고문헌
검교직각 이만수(李晩秀)와 남공철(南公轍)을 추자도(楸子島)에 정배(定配)하였다가 곧이어 용서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5
237
고문헌
호남 암행 어사 정만석(鄭晩錫)이 복명하여, 중희당(重熙堂)에서 소견(召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62
236
고문헌
각 해당 관사에 대해 상언(上言) 37도(度)를 판하(判下)하였다. 문간공(文簡公) 박상(朴祥)에 대해 특별히 불천위(不遷位)로 허락하고 관원을 보내 제사를 지내 주도록 하며, 문열공(文烈公) 조헌(趙憲)도 일체로 제사를 지내 주도록 하고, 도배(島配)된 죄인 이후전(李後傳)의 어미와 처(妻)에게 배소(配所)로 가서 만나는 것을 허락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71
235
고문헌
희정당(熙政堂)에서 약원(藥院)의 도제조(都提調)와 좌상과 우상과 비변사 당상을 소견(召見)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8
234
고문헌
정의 현감(旌義縣監) 남속(南涑)이 상소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61
233
고문헌
탐라에서 올린 전최 계본(殿最啓本)을 열어 보았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8
232
고문헌
탐라(耽羅)의 수신(守臣)은 진곡(賑穀)을 순조롭게 운송한 상황 및 고루 분급한 내용을 계속해서 보고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2
231
고문헌
신방(新榜) 안형직(安衡稷)은 첨지에 단부(單付)하고, 탐라(耽羅)의 문신 이태상(李台祥) 등은 먼저 주서에 부직(付職)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53
230
고문헌
제주 목사 이우현(李禹鉉)이 본도 3개 읍(邑)의 진휼을 마치고 급히 장계한 데 대해, 모환(麰還) 대신으로 거두는 양태(凉臺 갓양태)와 해곽(海藿 미역)은 장계에서 청한 대로 정퇴(停退)해 주고, 전에 내린 제주 목사를 시상하라는 전지는 삭제하며, 원납인(願納人)인 전 현감 고한록(高漢祿)은 대정 현감(大靜縣監)으로 특별히 차임하고 이어 군수의 이력(履歷)을 쓰게 하며, 홍삼필(洪三弼)과 양성범(梁聖範)은 순장(巡將)으로 올려 차출하라고 명하고, 이어 정리곡(整理穀)을 양태와 해곽으로 대신 징수하는 것은 일절 거론하지 말아서 모든 백성에게 자궁(慈宮)의 은혜가 널리 미친 바를 알게 하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62
229
고문헌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우현(李禹鉉)이 정의 현감(旌義縣監) 남속(南涑)을 파출(罷黜)하였다고 급히 장계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61
228
고문헌
전 정언 변경우(邊景祐)가 상소하여 제주(濟州)에 사창(社倉)을 설치하기를 청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려 도백과 목사를 시켜 이치를 따져 장계로 보고하게 하겠다고 하였다. 이어 제주목(濟州牧)은 3개 읍에 제단(祭壇)을 설치하여 굶주려 죽은 자들을 제사 지내라고 명하였다.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정조19년 (1795)
조회 :
61
first_page
chevron_left
64
65
66
67
68
69
70
chevron_right
last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