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신흥리 잠수굿


조천읍 신흥리 잠수굿(김영철 심방)_신흥리_2024_송정희

정의

조천읍 신흥리에서 유교식 마을제인 포제에 이어서 어촌계가 벌이는 굿.


내용

신흥리는 조천읍의 해안 마을이다. 이 마을 잠수굿은 신흥리의 유교식 마을제인 포제와 밀접하게 이루어진다. 제주도에서 포제는 남성들이 유교식으로 지내는 마을제의 가장 보편적인 명칭이다. 포제는 정월에 지낸다. 제일은 ‘혹정혹해或丁或亥’에 의해 보통 정월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한다. 대부분 마을의 행제 방식이 비슷하다. 신흥리에서는 정월 포제 제일의 자시에 제를 지낸다. 신흥리 포제는 상단제, 중단제, 해신제(유교식 용신제)로 구성된다. 상단제와 중단제는 마을회관에서 지내고, 해신제는 상단제를 시작하면서 동시에 바닷가에 따로 마련된 해신 제단에서 한다.
신흥리 잠수굿은 포제를 지낸 다음에 날이 밝으면 심방을 청하여 벌인다. 이 잠수굿은 오랫동안 ‘산굿(선굿)’으로 지냈다. 산굿은 무악기를 연주하고 심방이 서서 춤도 추면서 하는 굿이다. 이 잠수굿의 진행 방식도 다른 마을의 영등굿이나 잠수굿의 방식과 비슷하였다. 즉 초감제와 요왕맞이를 중심으로 씨드림·씨점, 요왕차사본풀이, 액막이, 선왕풀이·배방선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다 보니 종일 걸렸다. 최근에는 굿의 규모를 축소하여 ‘앚인굿(앉은굿)’으로 지내게 되었다. 코로나19와 해녀의 고령화에 따른 인원 감소 등의 사정이 맞물린 결과이다. 따라서 산굿일 때와 견주어 요왕맞이와 본풀이 등 일부 제차는 하지 않는다. 현재는 초감제, 조왕비념, 액막이, 선앙풀이·배방선, 씨드림 등으로 진행한다. 포제에 이어 잠수굿을 하는 전통은 지속되고, 굿은 여전히 어촌계 창고에서 한다.
잠수굿을 할 때는 현재 마을에서 유일한 신당으로 본향당 역할을 하는 볼레낭할망당에도 심방이 해녀와 함께 간단히 제물을 준비하여 다녀온다. 본래 본향당이 따로 있었지만 사정이 있어 볼레낭할망당에 본향신을 함께 모셨다. 이 당은 남성에 의해 억울하게 죽음에 이른 여성 당신의 내력으로 인해 남성의 출입을 금하는 신당이다. 이 당에서 따로 당굿이 벌어지지는 않는다. 볼레낭할망당에서 하는 본향비념은 본래 잠수굿에서 신을 청하는 초감제 때에 하던 것이었는데, 현재는 굿을 다 마치고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특징과 의의

신흥리 잠수굿은 유교식 마을제인 포제와 무속식 잠수굿의 연관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잠수굿을 두고 ‘포제굿’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마을에 무속식 당굿이 없기 때문에 이 잠수굿은 마을굿의 성격도 갖추었다. 최근에 여러 사정으로 굿의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본래의 전통을 유지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참고 문헌

강소전, <제주도 잠수굿 연구: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마을신앙》, 20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마을신 앙: 제주특별자치도》, 2023.


필자

강소전(姜昭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