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적

소라적_이호동_2024_좌혜경
방언
고동적, 구제기적, 구젱기적, 구젱이적
정의
소라로 만든 적.
내용
소라는 껍데기 속에 있는 살 부분을 식재료로 사용한다. 소라를 약간의 소금을 섞은 물에 삶아서 식힌다. 식힌 소라를 껍데기에서 꺼낸 다음 내장과 쓴맛이 나는 맹낭을 제거하여 한 번 씻어준다. 소라에 양념을 하고 대꼬챙이에 꽂아준다. 소라의 크기가 클 경우 몸통을 반으로 잘라서 적꼬치에 다섯 개에서 일곱 개씩 꿰고 작은 소라는 통째로 사용한다. 소라의 크기가 큰 것은 7개씩, 작은 것은 9개씩 꽂기도 한다. 꼬챙이에 꽂은 소라를 구워내면 ‘소라적’, ‘소라누름적’이 된다. 제주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구젱기적갈’이라고 한다.
제주바다에 식생하는 소라에는 비타민A와 타우린, 아르기닌, 라이신,
참고 문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인의 지혜와 맛-전통 향토음식》, 2012.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