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분자기밥

오분자기밥_이호동_2024_좌혜경
정의
오분자기를 넣어 지은 밥.
내용
오분자기는 내장이 적고 이물질이 거의 없다. 오분자기를 내장과 함께 적당한 크기로 자르거나 살과 내장을 분리한 후 내장을 잘게 다져서 식재료로 사용한다. 쌀에 손질된 오분자기를 넣어서 밥을 짓는다. 오분자기에는 칼슘, 철분, 무기질, 비타민B 등이 풍부하고 바다향이 그윽하게 나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다.
과거에는 오분자기를 많이 채취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채취하는 양이 줄어들었다. 특히 오분자기는 양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양식 전복 가격보다 비싸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오분자기밥을 맛볼 수 없게 되었다. 과거에는 무쇠솥에서 오분자기밥을 지었으나 근래에는 돌솥에서 짓고 있다.
참고 문헌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