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밥

전복밥_일도동_2024_김순자
정의
전복을 넣어 지은 밥.
내용
전복밥을 지으려면 전복 손질을 먼저 해야 한다. 우선 부드러운 솔을 이용하여 전복 살과 껍데기를 밀어 씻은 후 숟가락을 이용하여 껍데기를 분리한다. 전복의 이빨을 제거하고 전복 내장인 ‘게웃’을 떼어 낸다. 떼어 낸 게웃을 잘게 다져서 따로 두고, 전복살은 칼집을 넣어 적당한 크기로 나누어 참기름으로 볶아 둔다. 쌀은 미리 씻어서 불린 후 체에 걸러 물기를 빼둔다. 불린 쌀과 게웃을 섞고 여기에 우려낸 다시마국물을 부은 다음 소금을 넣어 끓인다. 이때 표고버섯을 같이 넣기도 한다. 밥이 다 지어 지면 볶은 전복살을 넣어 밥을 위아래로 살살 저어 밥알을 살린 후 다시 뚜껑을 닫고 뜸을 들인다. 간장, 다시마국물, 참기름, 깨, 고추 등에 쪽파를 썰어 넣어 양념장을 만들어 비벼서 먹는다.
과거에는 전복밥을 무쇠솥에서 지었으나 근래에 들어 돌솥에서 짓고 있다. 전복밥에 양념간장을 얹어서 버무려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어서 많은 이들이 즐겨 먹는 인기 음식이 되었다.
참고 문헌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