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할망

영등하르방(왼쪽)과 영등할망(가운데)_귀덕리_2021_제주학연구센터
정의
‘영등할머니’라는 뜻으로, 영등신을 여성 신격으로 인식하여 부르는 명칭.
내용
영등할망은 ‘영등’과 ‘할망’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말이다. 영등은 영등신을 의미하고, 할망은 할머니의 제주 방언이다. 할망을 ‘할마님’이라고 존대하여 부르기도 한다. 영등할망은 영등신을 여성 신격으로 인식하여 부를 때 가장 일반적인 명칭이다. 할망이 있으니 그다음으로 ‘영등어멍’(영등어머니)도 있다고 표현되기도 한다. 영등신은 주로 여성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영등할망이라고 하듯이 한국 본토에서도 영등신을 여성으로 여긴다.
이능화는 《조선무속고》에서 영등신이 노염을 잘 타기 때문에 노염을 잘 타는 사람을 영등신 할미라 한다면서, 대개 그 신을 할미姑라 칭한 것으로 보아 남신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더불어 영등신이 여아를 데리고 하강하면 바람이 많이 분다고 하며, 딸을 데리고 하강하면 그해 비가 많이 온다고 하여 풍영등風靈登과 우영등雨靈登이라 칭하기도 한다고 적었다. 송석하도 <풍신고>에서 영등신에 대해 ‘영동할만네’, ‘영동할맘’, ‘영동할마니’, ‘영동할마시’, ‘할마시’, ‘영동바람’, ‘풍신風神할만네’, ‘영동[麻姑]할마니’ 등으로 불리는 신이라고 하였다.
특징과 의의
영등신을 여성 신격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영등할망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제주의 민간신앙에서 여성신을 대개 할망이라고 호칭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제주섬을 만들었다는 ‘설문대할망’, 아이들을 보살피는 마을 신당인 ‘일뤠당’의 ‘일뤠할망’ 같은 사례가 많다. 여신을 할망이라고 부른다고 해서 여신을 현실의 인간 모습처럼 꼭 노파老婆로 인식하는 것은 아니다. 할망 그 자체가 여신을 부르는 명칭인 셈이다.
참고 문헌
송석하, 《한국민속고》, 일신사, 1963.
이능화 저·이재곤 역, 《조선무속고》, 동문선, 2002.
현용준,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집문당, 2002.
필자
강소전(姜昭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