ᄆᆞᆷ무침

ᄆᆞᆷ무침_이호동_2024_좌혜경
방언
ᄆᆞᆯ망무침, ᄆᆞᆷ무침, ᄆᆞᆷ차반무침, ᄆᆞᆷ채
정의
모자반에 김치나 무를 넣어 무친 반찬.
내용
모자반을 깨끗이 씻어 손질한 뒤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양이 많으면 날것으로 냉동해 두거나 말려서 보관하기도 한다. 모자반을 적당한 길이로 썰고 무는 곱게 채 썬다. 준비한 모자반에 무를 넣고 파와 갖은 양념을 하여 버무린다. 간은 젓국이나 된장으로 해서 물기 없이 무친다.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모자반에 신 김치를 넣어 무치기도 한다. 이때 배, 생무, 양파를 채 썰어 넣는다. 여기에 간장이나 젓국으로 간을 하고 마늘, 깨소금, 고춧가루, 참기름 등을 넣어 약간 국물이 나게 무치면 입맛을 돋우는 상큼한 무침이 된다.
모자반은 제주에서는 ‘ᄆᆞᆷ’, ‘ᄆᆞᆯ망’, ‘ᄆᆞ음’, ‘ᄆᆞᆷ차반’, ‘ᄆᆞᆷ채’ 등으로 불린다. 식용으로 사용하는 ‘ᄆᆞᆷ’은 ‘ᄎᆞᆷᄆᆞᆷ’이다. ‘ᄆᆞᆷ’ 수확 시기에는 날것을 데쳐서 먹으나, 소금기가 있는 그대로 말려서 저장해 두었다가 ‘ᄆᆞᆷ국’을 끓여먹기도 한다.
참고 문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인의 지혜와 맛-전통 향토음식》, 2012.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