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몽우리청각


몽우리청각_우도_2019_강정찬

학명

Codium contractum


방언

돌청각, 정각, 조정각, 조청각


정의

청각과에 딸린 바다풀.


내용

몽우리청각은 짙은 녹색이며 암반에 한 개체씩 붙어 자라고 몸은 원통 모양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가지는 두 갈래로 몇 차례 반복하여 갈라지고 모든 가지의 끝은 동일한 높이에 도달한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굵어지며 끝은 뭉툭하고 질감은 다육질로 약간 단단하다. 식물체 전체가 포낭이라는 커다란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포낭은 곤봉 모양이며 끝은 둥글다. 조간대 하부에서 조하대 수심 10m에 걸쳐 생육하는데 연중 관찰할 수 있다. 청각을 데쳐서 무쳐 먹거나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지역 사례

제주도 해녀 사회에서는 비교적 갯가 가까운 갯바위에 붙어 있는 청각을 ‘조정각’이라고 하고 비교적 수심 깊은 갯바위에 붙어 있는 청각을 ‘정각’ 또는 ‘보리정각’이라고 한다. 한림읍 비양리 해녀들은 갯가에 나는 청각을 ‘조청각’, 수심 깊은 바다에 나는 것을 ‘ᄆᆞᆯ정각’, 말청각이라고 하였다. 애월읍 곽지리 해녀들은 갯가에 나는 몽우리청각을 ‘조청각’, 수심 깊은 바다에 나는 몽우리청각을 ‘보리정각’이라고 하여 구분하였다. 주로 음력 6월에 채취한다. 음력 6월 이후에는 줄기나 잎이 뻣뻣하고 억세어 먹을 수 없게 된다. 이런 모양을 ‘정각 꽃 피었다’고 한다. 대정읍 마라리 해녀들은 갯가에 몽우리청각이 많이 나면 조 농사가 풍년 든다고 믿었다.


참고 문헌

고광민,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2004.
고광민, 《제주 생활사》, 한그루, 2018.
김명숙 외 4명,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22.
이기완, <제주도 해양생물의 지방명-1. 조류>, 《해양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5,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1981.
이용필,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서적, 200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섬문화연구소, 《제주도해녀문화총서Ⅰ》, 2019.


필자

강정찬(姜丁巑), 고광민(高光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