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홍조류

紅藻類


우뭇가사리_한수리_2024_제주학연구센터

정의

엽록소 외에 홍조소와 남조소를 함유하고 있어 붉은빛 또는 자줏빛을 띤 해조.


개관

홍조류는 진핵생물군(Eukaryota) 식물계(Plantae) 홍조 식물문(Rhodophyta)에 포함되는 생물군을 총칭한다. 홍조류의 엽록체는 엽록소-a만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외 보조 색소로 홍색과 청색을 띠는 피코빌린색소(phycobilin)를 함유한다. 광합성 산물은 다른 식물계 생물들과 달리 색소체가 아니라 세포질 내에 저장한다. 화학 구조적으로도 전분과 다른 독특한 홍조전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홍조류는 녹조류와 갈조류와 달리 생활사 모든 시기에 걸쳐 편모가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다. 홍조류의 세포벽에는 세포 외부 기질 물질로 한천(agar)과 카라기난(car-rageenans)을 함유한다. 대부분 열대로부터 온대 해역에 걸친 바다에 서식하며 약 6,000여 종 이상이 기록되고 있는 방대한 분류군이다.
홍조류는 생태적 또는 경제적으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산호말류는 해양 산호초 지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일부 홍조류는 카라기난(예: 꼬시래기류, 돌가사리류)이나 한천(예: 우뭇가사리류)의 원료 또는 기호식품(예: 김류)으로 양식되고 있다.


참고 문헌

김형섭·김선미, 《한국의 조류》(제4권 1호 원시홍조류. 홍조식물 문: 마디털홍조강, 붉은털홍조강, 김파래홍조강), 국립생물자원관, 2011.


필자

강정찬(姜丁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