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조류
褐藻類

감태숲_비양도_2024_조성익
학명
Phaeophyceae
정의
녹갈색 또는 담갈색을 띤 해조류.
개관
갈조류는 과거에 갈조식물문(Phaeophyta)이라는 명칭으로 분류하였으나 현재의 분류체계는 진핵생물군(Eu-karyota), 유색조생물계(Chromista), 부등편모조식물문(Het-erokontophyta), 갈조강(Phaeophyceae)에 포함되는 생물군을 총칭하므로 최근의 분류학적 개념으로는 식물로 구분하지 않는다. 갈조류는 다세포성 광합성 자가영양 생물로써 이들의 크기는 종류에 따라 수 ㎜에서 40m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갈조류가 갈색을 띠는 것은 색소체에 함유된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색소 물질, 즉 갈조소(fucoxanthin)와 비올라크산틴(violaxanthin) 때문이다.
갈조류는 현 지구 수생태계에서 중요한 1차 생산자의 위치에 있으며 해양 연안에서 거대한 바다 숲을 형성하여 다양한 동물들의 번식 및 생육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광합성을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으로써 지구 전체의 탄소순환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깊은 바닷속으로 산소를 공급하기도 한다. 광합성 저장 산물은 라미나린(laminarin)이란 수용성 당류이다. 세포벽은 섬유소로 구성 되는데 여기에 여러 가지 공업원료로 이용되는 알긴산과 푸코이단(fucoidans)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의 막대한 생물량은 연안의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어, 예전부터 식량, 비료, 사료 등으로 이용되었다. 현대에는 그 쓰임새가 더 다양해져 푸코이단 및 알긴산 등의 공업원료를 얻기 위해 인공으로 재배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의 원료 및 온실가스 저감 수단으로서의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