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다실미역


다실미역 표본_강정찬

학명

Undaria crenata


방언

타실메역


정의

나래미역과에 딸린 바다풀.나래미역과에 딸린 바다풀.


내용

다실미역은 황갈색의 계절성 대형 해조류이다. 암반 또는 홍조단괴에 한 개체씩 붙어 자란다. 헛뿌리는 손가락 모양으로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사방으로 확장한다. 헛뿌리에서 두껍고 납작한 줄기 하나를 형성하고 줄기의 상부에서 넓고 편평한 막 모양의 엽상부를 낸다. 엽상부는 긴 타원형 또는 띠 모양이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날개 잎들이 짧게 발달한다. 엽상부의 중앙부를 따라 넓고 두꺼운 잎맥이 발달하며 잎맥의 하부는 줄기와 연결되어 있다. 포자를 형성하는 기관은 중앙 잎맥의 표면과 줄기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줄기에 형성되는 포자 잎은 미역의 미역귀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작다. 질감은 가죽질이고 엽상부 표면은 다소 울퉁불퉁하며 점액질에 의해 매우 미끈거린다. 조하대 수심 5~10m 범위에서 드물게 관찰되며 폭 40cm, 높이 2m 이상까지 자라기도 한다. 6~7월에 포자를 방출한 후 녹기 시작하여 8월부터 11월까지는 관찰되지 않는다.


지역 사례

다실미역을 채취한 사례는 한림읍 비양도에서 확인된다. 비양도 해녀들은 음력 3월에 비양도와 한림리 바닷속에 들어가 다실미역을 채취하였다. 비양도와 금능리 사이 바다는 수심이 깊어 비양도 해녀들이 다실미역을 채취할 수 없으나 비양도와 한림리 사이 바다는 수심이 얕아 자유롭게 채취할 수 있었다. 다실미역은 비양도와 한림리 사이 바닷물 속 ‘조작지’에서 자란다. ‘조작지’는 자잘한 돌멩이가 깔린 바다다. 다실미역은 ‘올림이’로 갯가까지 올라오는 수도 있었다. ‘올림이’는 파도를 타고 갯가로 떠밀려온 바다풀을 말한다.


특징과 의의

다실미역은 한림읍 비양도, 애월읍 고내리, 우도면 서광리에서 관찰된다. 이 종의 형태는 미역과 넓미 역의 중간 형태다. 다실미역이 출현하는 지역 얕은 수심에는 미역, 깊은 수심에는 넓미역이 서식한다. Hwang et al.(2012)은 미역과 넓미역 교배 실험에서 다실미역과 유사한 외형을 갖고 중앙 잎맥과 자루 두 곳에서 포자를 형성하는 개체를 얻었다. 이런 서식 형태와 교배 결과 이 종이 미역과 넓미역의 교잡종(hybrid)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고광민,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2004.
고광민, 《제 주 생활사》, 한그루, 2018.
김명숙 외 4명,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22.
이용필,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서적, 2008.
Hwang et al. ,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24, 2012.
Lee & Yoon , 《Algae》 13(4), 1998.


필자

강정찬(姜丁巑), 고광민(高光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