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류
綠藻類
학명
Chlorophyta
정의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녹색을 띤 조류.
개관
녹조류는 진핵생물군(Eukaryota) 식물계(Plantae) 녹조 식물문(Chlorophyta)에 속하고 육상으로 진출하지 않은 단세포~다세포로 이루어진 방대한 생물군을 아우른다. 해조류로서 좁은 의미의 녹조류는 바다에 서식하는 갈파래강(Ulvophyceae)에 속하는 다세포성 생물군만을 일컫는다. 녹조류의 엽록체는 육상식물과 같은 엽록소a와 b를 함유하고 있고 저장 산물도 육상식물과 같은 녹말이다. 녹조류의 외형은 단순한 실 모양(예: 초록실류), 가지를 내는 실 모양(예: 대마디말류, 깃털말류), 편평한 잎 모양(예: 갈파래류), 대롱 모양(예: 창자파래) 및 나뭇가지 모양(예: 청각류, 옥덩굴류) 등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녹조류 중 홑파래류, 갈파래류, 청각류, 옥덩굴류 등은 음식 재료로 활용되고, 갈파래류는 거름으로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갈파래류, 대마디말류 등 일부 종류들이 연안의 부영양화 현상에 대한 반응으로 대량 증식하여 녹조 대발생(green tide)을 유발함으로써 환경 및 산업적 피해를 주고 있다.
참고 문헌
배은희 외 4명, 《한국의 조류》(제1권 1호 해산 녹조류. 녹조식물문: 갈파래강: 초록실목, 갈파래목, 대마디말목, 깃털말목), 국립생물자원관, 2010.
Dawes, C. J., 《Marine botany》, John Wiley & Sons, 1998.
필자
강정찬(姜丁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