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수의 전설
정의
산호수와 마마신 설화를 춤사위로 형상화한 무용극.
내용
산호수와 마마신에 얽힌 설화를 무용극으로 작품화 하였다. 해녀들이 천연두를 퍼뜨리는 마마신의 공격을 받자 상군 해녀가 용궁으로 내려가 용왕을 뵙고 산호수(산호를 닮은 열매가 자라는 나무)를 얻어와 마마신을 쫓고 해녀들을 구한다는 내용이다. <산호수의 전설>은 이 설화를 바탕으로 제주해녀의 탄생과 강인한 모습을 무용극으로 형상화 한 것이다. 정인수 대본, 김희숙 안무, 조영배 음악, 김택근 연출로 제주도립예술단(제주도립무용단의 전신)의 제14회(1997년) 정기 공연에서 선보였다. 세 마당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장 바다여’는 해녀들의 물질과 마마신의 공격, ‘제2장 용왕이여’는 상군 해녀의 용왕 알현과 마마신과의 싸움, ‘제3장 잠녀여’는 마마신을 물리친 상군 해녀의 죽음과 장례 장면을 연극처럼 박진감 있게 펼친다. 이 작품은 같은 해 9월에 서울 국립극장에서 열린 전국시도립무용제에 참가했다.
특징과 의의
제주도의 무속 설화에 제주의 무악과 민요를 곁들여 참신한 무대 예술로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참고 문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립예술단사》, 2008.
제주문화예술진흥원, 《제주도립무용단 30년사》, 2020.
필자
김희숙(金姬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