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전복죽


전복죽_이호동_2024_좌혜경

방언

점복죽


정의

전복을 넣어 쑨 죽.


내용

전복죽은 대표적인 해녀 음식이다. 전복죽을 끓이기 위해서는 전복의 몸통과 내장을 분리해서 이빨 등 기관을 다 제거하고 게웃 속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쌀을 물에 잘 불렸다가 물을 빼서 준비해 둔다. 전복 살을 얇게 썰어서 불린 쌀과 함께 솥에 넣고 참기름으로 볶는다. 어느 정도 익었을 때 충분한 양의 물을 넣어 푹 끓여주면 고소하고 맛있는 전복죽이 된다. 전복 살을 얄팍 하게 썰어 따로 참기름에 볶아 두었다가 나중에 넣기도 한다. 죽이 어느 정도 완성되었을 때 미리 준비해 둔 전복 살을 넣고 다시 한번 끓여낸다.
전복죽은 오분자기죽과 만드는 방법이 거의 같다. 오분자기 내장은 작아서 불순물이 적으므로 오분자기 살과 함께 넣어도 되지만 전복 내장은 깨끗이 손질하여 따로 볶아서 사용한다. 전복 살과 내장을 함께 사용하여 쑤면 전복내장죽이 된다. 전복죽은 영양가가 높아 허약한 사람이나 어린아이의 원기 회복을 위한 건강식, 보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예전에는 특별한 경우에나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다. 죽이 발달한 해녀음식 중에서도 대표적인 음식으로 꼽힌다.


참고 문헌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