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보말죽


보말죽_이호동_2024_좌혜경

방언

ᄀᆞ메기죽, 먹보말죽, ᄎᆞᆷ보말죽


정의

고둥을 넣어 쑨 죽.


내용

‘보말’은 고둥의 제주어다. 고둥을 재료로 하여 쑨 죽이 ‘보말죽’이다. 보말죽은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다. 보말죽을 쑤기 전에 보말 내장 속에 들어있는 모래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먼저 물을 넉넉하게 넣어 보말이 완전히 푹 익을 때까지 삶아내고 살과 내장을 분리한다. 보말의 알맹이를 꺼낼 때 ‘쿳가시낭(꾸지뽕나무)’ 가시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보말 삶은 물은 버리지 않고 두었다가 죽을 만들 때 사용한다. 색깔이 진한 보말죽을 쑤려면 보말을 방아에 빻아서 사용하고, 보말의 고슬고슬한 식감을 즐기고 싶으면 그대로 쑨다. 보말 삶은 물에 불린 쌀을 넣어 끓인 다음 거기에 보말을 넣고 끓인다. 이때 기름에 볶은 내장을 으깨 걸러 두었다가 함께 넣는다. 이렇게 만든 보말죽은 맛이나 색깔이 전복죽과 비슷하다. 불린 쌀에다 보말 알맹이 와 참기름을 넣고 약한 불을 이용하여 볶다가 육질이 어느 정도 익으면 보말 삶은 물을 넣어 죽을 끓이기도 한다. 죽이 완성될 때까지 계속해서 물을 보충하면서 끓이다 보면 쌀이 풀려서 보말죽이 만들어진다.
죽에는 작은 고둥인 ‘ᄎᆞᆷ보말’, ‘ᄀᆞ메기’, ‘코ᄐᆞ대기’ 등을 사용한다. 재료에 따라 ‘ᄎᆞᆷ보말죽, ᄀᆞ메기죽, 먹보말죽’ 등으로 나뉜다.


참고 문헌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