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성게죽


방언

구살죽, 성기죽, 퀴죽


정의

성게 알을 넣어 쑨 죽.


내용

성게죽을 끓이려면 우선 쌀을 물에 잘 불려 물기를 뺀 후 참기름을 넣고 조금 볶다가 물을 부어 푹 끓인다. 죽이 거의 완성되었을 때 성게 알을 넣어 다시 한소끔 끓여 준다. 성게 알을 넣을 때 살살 넣어줘야 국물이 노래지고 성게 알이 알알이 뭉쳐져 흩어지지 않는다. 이렇게 쑨 성게죽은 식감도 좋고 독특한 향기도 남아 있어 그 맛이 일품이다.
성게는 보리가 익는 계절인 5월부터 7월까지 채취하는데 이 시기가 알이 꽉 차고 맛이 좋다. 성게알은 성게에 있는 채로 숟가락으로 파먹기도 하고 날미역에 싸서 먹기도 하고 국, 죽, 젓갈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성게에는 단백질, 비타민, 철분 등의 영양분이 많이 들어있으므로 성게 죽은 환자들의 영양식으로 좋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문헌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 음식문화》, 제주콤, 2017.


필자

좌혜경(左惠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