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문화 대백과사전


꼬시래기


꼬시래기_우도_2024_강정찬

학명

Gracilaria vermiculophylla


방언

고시래기, 꼬실라기, 석목, 석묵


정의

꼬시래깃과에 딸린 바다풀.


내용

꼬시래기는 식용 가능한 검붉은색 해조류이다. 작은 원반 모양 헛뿌리로 암반 또는 바위에 부착하여 여러 개체가 함께 모여 자란다. 헛뿌리에서 원통 모양의 긴 중심 가지를 내고, 중심 가지는 불규칙하게 여러 개의 가지들을 낸다. 가지들은 수차례 반복하여 불규칙한 패턴으로 갈라진다. 가지의 하부와 끝부분은 가늘어지며 지름 1~2mm, 높이 30cm까지 성장한다. 질감은 단단하고 잘 휘어지며 가지를 접었을 때 잘 부러진다. 파도의 영향을 덜 받는 곳의 조간대 중부에서 하부에 큰 군락을 이루기도 하고 특히 민물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 잘 자란다. 계절성 해조류로 6월에 최대로 자라며 7월부터는 관찰하기 어렵다.


특징과 의의

식용 가능한 해조류이며, 한천의 원료가 된다. 꼬시래기와 유사한 종인 개꼬시래기는 외형적으로 매우 비슷하지만 식물체의 색깔이 밝은 붉은색이며 가지를 드물게 형성한다. 조하대 5~15m 범위 사니질이 우세한 곳에서 자갈 또는 조개껍데기에 잘 붙어 자라고 높이는 1m 이상 성장하기도 한다. ‘개꼬시래기’는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 대상이 되는 종으로서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꼬시래기’라고 불리며 판매된다.


참고 문헌

강제원, 《한국동식물도감》(제8권 식물편-해조류), 문교부, 1968.
이기완, <제주도 해양생물의 지방명-1. 조류>, 《해양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5,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1981.
이용필,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서 적, 2008.


필자

강정찬(姜丁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