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정의
제주특별자치도가 1999년 해양수산진흥에 대한 수산종묘 생산기술 개발, 종묘 양산 공급, 지역 특성 어업에 대한 연구·기술개발 보급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주특별자치도 연구원.
내용
1999년 5월 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설치조례 및 시행규칙에 따라 2과 5담당 1팀으로 개소했다. 지역특산 어패류 등 종묘생산, 방류 및 수산자원 회복 연구와 청정 양식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 연구, 지역 특성 어업에 대한 생력화 연구 및 기술개발 보급, 갯녹음 어장 복원 등 기후 변화 대응 연구를 수행한다. 해양수산자원과, 미래양식센터, 수산종자연구센터, 수산질병연구센터로 조직되었다.
해양수산자원과에서는 도립수산종묘배양장 지원사업, 연구원 대외 교류(MOU) 업무 관리, 수산전시장 운영 및 관리, 제주 연근해 어선어업 조업 자동화 장비개량 연구, 수산업경영인 육성(귀어업인 육성 포함)관리, 수산자원 생태환경 조사, 시험조사선 운항(운영) 계획의 수립 등을 담당한다.
미래양식센터는 종자 생산용 먹이생물 배양, 관리 및 공급, 향토어종 종자 생산 및 자원 조성, 옥돔 등 향토 어종 어미 사육 및 종자 생산, 지역별 어선어업 동향 조사, 지하 해수 양식 대상 품종 어미 사육관리 등을 맡고 있다.
수산종자연구센터에서는 수산종자 개발 연구 기획 및 수산정책 지원, 전복 및 오분자기 종묘 생산, 전복·오분자기 종자 생산 및 방류, 전복 시험생물 사육관리, 제주산 특산패류 종 보존 및 종묘 생산 연구 등을 진행한다.
수산질병연구센터는 양식 수산물 안전성 검사, 광어 위생 사육 시스템 개발 연구, 수산용 백신 개발 연구, 양식장 질병 모니터링, 안전성 검사 처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특징과 의의
해양수산연구원은 100개 마을 어장에 대한 자원생태환경 조사(2008~2017)를 완료하고, 2018년부터는 권역별 표본 어장을 선정해 수산자원생물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자원생태 환경조사 4차 계획(2023~2027)에 따라 5년간 마을 어장 내 저서생물, 해조류, 해양환경 변화상을 분석해 수산자원 관리와 효율적 관리 방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특히 전복과 오분자기, 제주산 특산 패류 종 보존, 종묘 생산 연구를 담당하는 등 제주 수산업 내 제주해녀어업의 비중을 감안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 문헌
제주특별자치도(jeju.go.kr).
필자
고미(高美)